검색 상세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공공기관 MZ세대 조직 구성원의 역할 내・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s of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on In-Role Behavior and Extra-Role Behavior of Members of the MZ Generation in Public Institutions: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MZ세대를 대상으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역할 내 행동 및 역할 외 행동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직속 상사를 둔 MZ세대 중 1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정규직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총 277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응답과 결측치를 제외하고 총 27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응답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5.0과 AMOS 26.0을 사용하여 측정모형 분석 및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직속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MZ세대 조직 구성원의 역할 내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미치지 않았고, 역할 외 행동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속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은 그들의 역할 내 행동과 역할 외 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속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역할 내 행동 및 역할 외 행동 간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한계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on in-role behavior and extra-role behavior of members of the MZ generation in public institutions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full-time MZ generation workers in Korean public organizations, who have over one year of career under their immediate leaders. Among 277 data, those with unacceptable answers and missing values were excluded so that 272 of them were ultimately used for the analysis. Th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ith SPSS 25.0 and AMOS 26.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of immediate leaders has no considerable effect on the in-role behaviors of their workers in MZ generations, while it demonstrate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xtra-role behaviors. Second, empowering leadership of immediate leader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workers. Thir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worker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in-role and extra-role behaviors. Lastly, it has been empirically prove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workers mediate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of their immediate leaders and the in-role and extra-role behaviors of the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