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부하, 인플루언서의 내러티브, 광고 공시가 인플루언서 후원 콘텐츠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Influencer Sponsored Content: The Interplay of Cognitive Load, Influencer Narrative, and Sponsorship Disclosure
- 주제(키워드) 인지부하 , 인플루언서 내러티브 , 광고 공시 , 광고 효과 , 인플루언서 마케팅 , Cognitive Load , Influencer’s Narrative , Advertising Disclosure , Advertising Effectiveness , Influencer Marketing
- 주제(기타) 사회과학일반
- 설명문(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4077
- 등재 KCI등재
-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 발행년도 2023
-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204893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제한된 인지능력 모델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의 인지부하를 고려하여 인플루언서의 콘텐츠 속 내러티브 요소와 광고 공시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연구는 다변량 공분산분석을 통해 인플루언서 게시물 속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에 대한 인지부하, 인플루언서의 내러티브, 광고 공시의 삼원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부하가 높은 조건에서는 광고 공시가 없을 때보다 광고 공시가 있을 때, 인플루언서의 내러티브 수준이 높은 경우보다 내러티브가 낮은경우에서 태도 및 구매의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내러티브와 광고 공시의 상호작용효과는 인지부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삼원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 인지부하가 발생하는 소셜미디어 환경과 인플루언서 콘텐츠의 광고 효과성에 대해 간접적으로 적용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more초록/요약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narrative elements and sponsorship disclosure in social media influencers’ content and consumers’ cognitive load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The results show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influencer narrative and sponsorship disclosure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the level of cognitive load.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consumers’ attitude towards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 in the influencer pos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vs. low) cognitive load condition when the sponsorship disclosure was present and when the level of influencer narrative was low.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