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가와 위기의 상호구성성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의 함의

Conceptualizing Crisis and the State in the Post-Pandemic Era

초록/요약

본 논문에서는 고대 그리스에서 현대까지 존재했던 위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적용을 살펴보고, 위기의 개념화가 현대 국가를 이해하는 데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에 대해 논한다. 위기는 현상적으로는 국가에 대한 해체의 담론을 구성하지만, 본질적으로는 국가의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이 본 글의 주요 논지이며, 위기의 속성을 구성하는 두가지 관점–모순(contradiction)과 위험(risk)-을 두 축으로 하여 위기와 국가의 관계를 분석 한다. 거시적 구조의 모순을 위기로 규정할 때 기존의 국가체제는 정당성의 위기에 봉착하지만, 그러한 정당성의 위기는 구성원들로 하여금 새로운 형태의 국가 공동체를 요구하는 행동을 촉구한다. 개인과 사회의 위험 가능성을 위기로 볼 때, 국가는 전보다 증대된 역할을 부여받고 그 기능을 강화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위기와 국가는 상호파괴 적이라기 보다는 상호구성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위기의 내러티브에 비추어 코로나19 이후의 국가를 조망하는 것로 끝맺음한다.

more

초록/요약

Although the COVID-19 pandemic brought into question the capacity of states during crisis, few have attempted to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sis and the state. This article fills this gap by tracing the conceptual origins and discussing various applications of the term “crisis” in politics, I argue that while crisis seems to undermine the legitimacy of the state, it ultimately reinforces the state’s role for the society. To support this argument, I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sis and the state through two perspectives – crisis as contradiction and crisis as risk. First, when crisis means contradictions caused by structural conflicts, the extant state system experiences legitimation crisis. However, such a crisis state does not lead to the failure of the state but facilitates demands for a better, newer form of governance. On the other hand, crisis may arise as a form of risks against uncertainties, in which case the state can legitimately and explicitly strengthen its functions as the risk manager. In both cases, crisis and the state are mutually reinforcing and constituitive of each othe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