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우울이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PIMeM)의 적용

The Effects of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Depression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Among Dual-Earner Couples with Children no more than 7 Years Old: An Application of the

초록/요약

연구목적: 맞벌이 부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우울이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편과 아내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연구방법: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351쌍을 대상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아내보다 전통적이었고, 아내의 우울이 남편보다 높았으며,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아내의 보고가 남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부부의 우울이 증가하였고,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열기가 감소하였으며, 남편이 인식한 어머니 문닫기가 증가하였다. 반면, 아내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는 아내 자신의 어머니 문닫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영향만을 설명하였다. 셋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남편의 우울이 부분 매개하여 남편이 인식한 어머니 문열기가 감소하고 남편이 인식한 어머니 문닫기가 증가하였다. 또한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아내의 우울이 부분 매개하여 아내가 인식한 어머니 문열기가 감소하였다. 넷째,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남편과 아내의 우울이 각각 완전 매개하여 아내가 인식한 어머니 문닫기가 증가하였다. 결론: 공동육아 문화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사회적 맥락에서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쌍자료(dyadic data)를 수집하여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부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갖는 상호적 경로에서 비대칭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ctor-partner effects in the context of dual-earner couples’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depression, specifically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Method: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 among 351 dual-earner couples with children no more than 7 years old. Results: First,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as more traditional than the wife’s, and the wife’s depression was higher than the husband’s. Similarly, the wife’s report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usband. Second, as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became more traditional, the couple’s depression increased, their perceived maternal gate opening decreased, and the husband’s perceived maternal gate closing increased. Third, as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became more traditional, his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perceived maternal gate opening decreased, and perceived maternal gate closing increased. In addition, the more traditional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as, the more the wife’s depression was mediated, and her perceived maternal gate opening decreased. Fourth, the more traditional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as, the more the couple’s depression was completely mediated, and the wife’s perceived maternal gate closing in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collects dyadic data from dual-earner couples with children no more than 7 years old. The data are also collected in the social context of active discussions on the co-parenting culture to confirm the asymmetrical effect between couples in the mutual effect of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depression on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