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1990년 이후 한국 현대사진의 여성 재현 방식: 포스트페미니즘의 ‘차이’ 구현

Representation of Women in Korean Contemporary Photography after 1990s : Realization of ‘Difference’ in Postfemimism

초록/요약

한국 사진에서의 여성 재현 방식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유입 등 사회, 문화적 변화와 함께 1990년대부터 변화한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함께 전개된 포스트페미니즘은 페미니즘의 패러다임을 ‘평등’에서 ‘차이’로 바꾸는데, 특히 한국 여성사진작가들은 이 ‘차이’를 구현함으로써 여성 재현 방식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 연구는 포스트페미니즘의 주요 이론을 통해 1990년대 말부터 여성을 주제로 괄목할만한 작업을 해온 김옥선과 니키리의 작품을 분석하여 ‘차이’의 논의가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방법은 페미니즘 정치철학자 낸시 프레이저가 차이를 중심 담론으로 하는포스트페미니즘의 전개를 남녀의 차이에 주목한 ‘젠더 차이’, 여성들 간의 다양성에 따른 ‘여성들 간의차이들’, 젠더를 넘어 문화, 인종, 계급, 성정체성 등 모든 차이가 ‘복합적으로 교차하는 차이들’이라는3단계로 구분함에 따라 각각의 세 단계를 대표하는 뤼스 이리가레의 ‘반사경’, 가야트리 스피박의 ‘서벌탄 이론’,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분석의 틀로 삼아 김옥선과 니키리의 작품을 살펴보는것이다. 두 작가 모두 ‘차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기존의 여성 재현 방식과 구분되는 새로운 방식을제안하는데, 김옥선은 개별 주체들의 삶이 지니는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이리가레가 그간 은폐되어 왔다고 주장한 개인 여성의 주체성을 인정하며, 그동안 소외되고 침묵해온 존재들의 삶이 시각적으로 유형화됐던 것과 달리 그들 간의 차이를 온전히 드러내어 스피박이 주장한 ‘진정한 말걸기’를구현한다. 니키리는 각 프로젝트마다 스스로 연출한, 전혀 다른 정체성을 드러내는 모습을 통해 인종, 계급, 섹슈얼리티를 넘나들며 모든 차이를 해체하는 방식으로 버틀러가 주장한 고정되지 않은 정체성, 수행적 주체를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more

초록/요약

The way women are represented in Korean photography took a different turn by the 1990s due to social and cultural chang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Postmodernism. Postfeminism emerged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Postmodernism as it shifted the paradigm of feminism from ‘equality’ to ‘difference’ and Korean female photographers in particular embodied this ‘difference’ and brought about changes in how women are represented.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t works of Kim Oksun and Nikki S. Lee who have been working on the subject of women since the late 1990s to understand how the key Postfeminism discourse of ‘difference’ was manifested. Nancy Fraser, the feminist political philosopher, divides the history of Postfeminist debates about ‘difference’ into three different phases: gender differences that focus on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differences among women caused by the diversity in women and multiple intersecting differences that include not only gender but also race, class and sexuality. Speculum by Luce Irigaray, the Subaltern theory by Gayatri Chakravorty Spivak and Performativity by Judith Butler which respectively outline each phase were us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o read into the works of Kim Oksun and Nikki S. Lee. The central idea of ‘difference’ can be read in the works of both artists which propose new ways to represent women that differ from the past. By revealing the ‘difference’ found in the lives of individual subjects, Kim Oksun’s photography highlights the independence of women which is claimed to have been concealed by Irigaray. Moreover, rather than visually stereotyping the lives of marginalized and silent people, her work unveils their differences and exemplifies Spivak’s ‘true communication’. Nikki S. Lee’s projects directed by herself explore how different identities are expressed in a way that dismantles all differences across race, class and sexuality and visually illustrate Butler’s claims of unfixed identity and performative subjec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