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어인가-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조사와 어미의 범주-

Are Josa and endings of Korean clitics?-on the category of Josa and endings of Korean in a typological perspective-

초록/요약

그동안 한국어의 조사나 어미에 대해서는 이를 접어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다양한 견해들의 가장 큰 문제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가 유형론적인 측면에서 접어로 간주될 수 있는지 접어의 특성, 접어의 유형, 접어의 판별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그동안 유형론적 논의에서 제시된 접어의 특성들은 접어가 매우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 특성 가운데는 한국어의 조사나 어미와 공유하는 것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적용될 수 없는 특성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다음으로 접어의 유형을 ‘분포’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 Zwicky(1977)의 논의는 대당하는 자립 단어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단순 접어’는 물론 ‘특별 접어’로 분류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남는 경우의 수는 ‘의존 단어’뿐인데 이 역시 나중에 ‘특별 접어’로 편입된 사정을 염두에 둔다면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에 적용될 여지를 찾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Klavans(1982, 1985)의 접어 유형은 ‘위치’에 중점을 둔 것이므로 결과적인 유형으로는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포괄할 수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접어로 ‘판정’된 이후에나 가능한 일이다. 마지막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접어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제시된 것은, 접사와 접어를 구별하기 위한 Zwicky & Pullum(1983), 접어와 첨사를 구별하기 위한 Zwicky(1985)이다. Vance(1993)에서는 특히 한국어의 조사에 대당될 수 있는 일본어의 첨사에 이를 적용해 본 것인데 그 결과 일본어의 첨사는 접사로 분석될 수 없으며 접어로도 보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에 Zwicky & Pullum(1983), Zwicky(1985)의 판정 기준을 적용해 본 결과도 이와 크게 다르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결국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범주’로서는 접어로 간주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충분하다. 이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범주로서 처리할 수 있는 마지막 가능성은 통사 요소라는 측면을 중시하여 단어의 하나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는 곧 한국어에는 선행 요소에 의존하면서 그 자체로 통사적인 측면에서 단어의 자격을 가지는 조사와 어미라는 품사가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오히려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사와 단어 사이에서 범주상의 문제를 제기하는 요소가 아니라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수성을 보여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ere have been opinions th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clitics in whole or in part. However, these opinions have a critical flaw in that they are incompatiable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ether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clitics or not in a typological perspective. First of all, owing to the wide spectrum, the properties of clitics which have suggested so far, cannot help much with the definition of clitic itself. As a result, there are a lot of properties which don´t apply to josa and endings of Korean. In the second place, the things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clitics based on Zwicky(1977) which classified the clitic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showed th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cannot be not only simple clitics but also special clitics in that they don´t have corresponding free words. The last remaining possibility is to tre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s bound words in Zwicky(1977), but keeping the bound words being incorporated into special clitics later in mind, it is hard to say that this treat is valid. Meanwhile, in the clitic types of Klavans(1982, 1985) which are focused on the position in the sentence mainly, it is possible to tre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s a kind of clitics. However, it is needed to be aware of that this treat is possible only after judging josa and endings of Korean as clitics. Finally, to judge the status of josa and endings of Korean directly,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criteria for clitics. The criteria for clitics in Zwicky & Pullum(1983) have a purpose for distinguishing affixes with clitics and the criteria for clitics in Zwicky(1985) have a purpose for distinguishing clitics with particles. In Vance(1993), through applying the criteria for clitics of Zwicky & Pullum(1983) and Zwicky(1985) to Japanese particles which correspond to Korean Josa by and large, it is concluded that they cannot be treated as clitics as well as affixe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criteria for clitics of Zwicky & Pullum(1983) and Zwicky(1985) to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not different from Vance(1993). The above discussions can be summed up that although there are properties sharing with clitics, josa and endings of Korean cannot be considered as a clitics with respect to the category itself. The remaining final possibility to tre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is to regard them as a kind of ‘wor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re exist classes of bound words as parts of speech having the status of syntactic element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also concluded th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elements showing the typological specificity of Korea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