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특수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척도와 측정 도구의 문항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특수교사용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 현장적합성 검사, 예비조사 단계를 거쳐 전국 유아, 초등, 중등 특수교사 527명에게 본조사를 시행하였다. 최종 486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특수교사용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 특수교사용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척도는 ‘세계시민교육 이해’, ‘세계시민성(지식, 기술,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역량’의 3가지 요인구조로 설정되었다. 전체 수렴타당도는 .930이었고, 하위요인별 수렴타당도는 .814부터 .941까지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영역(χ², df, χ²/df, CFI, TLI, SRMR, RMSEA, CR, AVE)에서 해당 측정 도구가 타당하고, 안정적으로 측정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단순재현전략(loose replication strategy)을 사용하여 교차타당도 분석한 결과, 두 모델은 모두 수용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특수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교사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 도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를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사의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을 강화할 연수를 개발하고, 특수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연수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to measure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based on previous studies. Method: We reviewed the GCE teacher’s competency scales and measurement tool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extracted possible items. Finally, we completed the tool with 27 items through the processes of content validity and a pilot field test. Five hundred and twenty-s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participated in out survey; and the response of the final 486 teacher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urth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CE and to grasp the validity. Resul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 structure was set up in three ways: “Understanding GCE”, “Global Citizenship”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GCE teaching Competency”. The overall convergence validity was .930, and the convergence validity by sub-factor was high and between .814 to .941.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surement tool was valid and stably measurable in all areas (χ², df, CFI, TLI, SRMR, RMSEA, CR, AVE), and the cross-validation analysis using a loose replication strategy showed that both models were within acceptable range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reasonably measure teachers’ competence by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for teachers in the absence of such a tool to measure their competence in GC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not only to develop training method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but also develop tools to conduct GCE training for such teachers and measure their effectivene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