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의 분노억제와 전위된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내외통제성향의 조절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in and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in Adolescen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분노억제와 전위된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내외통제성향(내적통제성, 외적통제성) 이 중재를 하는지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청소년 500명(남학생 245명, 여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기보고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세 변수의 성차를 살펴보기 위해 t 검정,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노억제와 내외통제성향이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억제, 외적통제성 및 전위된 공격행동은 남녀집단 간에 유의미한 성차를 보였으나, 내적통제성은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분노억제가 전위된 공격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분노억제와 전위된 공격행동 간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성은 남녀청소년 모두 유의미하게 조절하였으나 외적통제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중요 변인들 간에 나타난 성차를통해 성에 따라 취약한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성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분노억제와 전위된 공격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요인인 내적통제성이 전위된공격행동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이자 완충작용을 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위된공격행동을 조기중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nger-in on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in adolescents. In addition,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500 adolescents(245 boys and 255 girls) in a middle and high school of South Korea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by self-repor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ger-in,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and external control show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but internal control did not show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Second, anger-in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ird, internal control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nger-in and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External control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the level of vulnerability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in adolescents. This suggests that a differentiated approach according to gender is needed and can infer that internal control acts as a protective factor and a buffer to reduce and prevent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in and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Therefore, this study has important significance and value in that it provides a psychological mechanism for early intervention of behavioral displaced aggression in adolesce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