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노후불안척도의 타당화 및 성인 생애주기별 적용가능성 탐색: 청년, 중년, 노년 세대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Validation of the Aging Anxiety Scale and Exploration of Its Application Across Life Stage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Young, Middle-aged, and Older Generation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정주희(2020)가 사용한 노후불안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연령집단별 노후불안 수준 차이와 세대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후불안 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20 OOOO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20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t-검증과 F-검증 등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문항 제거 후 경제적 노후불안, 심리사회적 노후불안, 건강 노후불안의 3요인 구조를 나타냈다. 둘째, 청년, 중년, 노년집단에서 노후불안척도의 사용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셋째, 연령집단 간 노후불안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리사회적 및 건강 측면에서 유의미한 연령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연령집단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후불안 하위척도 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주관적 경제상태가 모든 연령집단에서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중년세대는 성별과 자가여부, 노인세대는 교육수준, 직업, 건강상태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current study aimed to validate the Aging Anxiety Scale that was composed by Jung(2020). A total of 1,200 participants from the "2020 OOOO Survey" were analyzed using EFA, CFA, muultigroup CFA, t-test, and F-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removing two questionnaires, the scale had a three-factor structure, including aging anxiety related to economic, psychosocial, and health factors. Second, the scale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use in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ird, when the differences in aging anxiety among age groups were observed, significant age group differences were shown in terms of psycho-social and health aspects. Fourth, when the differences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ub-dimensions of aging anxiety across age groups were explored, subjective economic status emerged as a significant factor across all groups. In addition, gender and home ownership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for middle-aged adults, and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health statu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for older ad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