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코로나19 이후 기초학력 보장 정책 변동 분석: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policy changes of Bas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after COVID-19 :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초록/요약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변동과정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입안 및 결정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제언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코로나19 이후 기초학력 보장 정책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은 어떠한가? 둘째, 코로나19 이후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창은 어떻게 열렸는가?’이다. 본 연구는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기반으로 2020년 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의 신문 기사 및 문헌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의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코로나19 1기의 정책의 창은 정책문제로 인해 열렸으며, 코로나19 2기의 정책의 창은 정치적 변동으로 인해 열렸다. 둘째, 코로나19 1기의 정책활동가는 학부모 집단이었으며, 코로나19 2기의 정책활동가는 정부였다. 셋째, 코로나19 이후 기초학력 보장 정책은 기초학력 전수조사 평가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정책 효과 검증 및 정책실행 과정 개선에 대해 다루는 것이 부족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분석을 통해 정책적 제언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특정 사건이나 정치적 변동 등으로 인한 정책 변동보다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에 기반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 현장의 구성원들 및 다양한 정책활동가들과의 긴밀한 소통을 기반으로 한 백워드 매핑 정책실행이 동반되어야 한다. 셋째,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사후 진단과 더불어 사전 예방 정책도 함께 실행되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about bas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through analyzing how the bas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ies have changed dynamically after COVID-19 and how did the policy window ope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were the streams of problems, policies, and politics and how did the policy window open pertaining to the basic academic skills after COVID-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olicy problem mainly opened the first policy window, and the political change led the second policy window. Second, major policy entrepreneurs in the first COVID-19 period were parents, and the government was an active policy entrepreneur in the second COVID-19 period. Third, since COVID-19, standard evaluation has been main agenda of the bas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neglecting the verification of policy effects and improvement of the policy enforcement proces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under a deliberate and reasonable decision-making process. Second, backward mapping policy implementation should be done through close communication with members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various policy activists. Third, preventive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along with post-diagnosis of deficient stude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