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연결’을 위한 미디어 이용에서 공존감의 매개효과 : 스터디위드미 동영상을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Co-presence in Using Media for ‘Connection’ : Focusing on Study With Me Video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과의 연결을 통한 새로운 공부 방식인 스터디위드미 시청을 주목하였다. 기존의미디어와 차별된 미디어 이용 특성에 따라, 같은 공간에서 함께 공부하고 있다고 느끼는 ‘공존감’을 학습지속을 이끌 수 있는 핵심변인으로 제시하였다. 공존감의 결정요인으로서 출연자에 대한 인식 차원의 ‘유사성’, ‘선망성’, 매체속성에 대한 인식 차원의 ‘동시성’, ‘환경친숙성’을 도출하여, 공존감에 미치는 관계를 확인하고, 공존감이 ‘학습시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설문은 고등학생을 포함한17세부터 39세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여 323명의 데이터를 얻었다. 연구 결과, 출연자에게 느끼는유사성과 선망성, 그리고 동시성의 매체속성은 공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환경친숙성은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공존감은 학습시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유사성, 선망성, 동시성과 학습시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즉, 출연자에게 유사성, 선망성을 느낄수록,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동시간적으로 연결된 경우, 공존감이 지각되어 학습시간 증가를 이끌 수 있다고 밝혔다. 본 연구는 기존미디어 시청과 달리 연결성을 주목적으로 한 미디어 이용에서 공존감이 핵심변인임을 제시하고, 그 결정요인과 효과까지 검증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인 공부문화로 확산되고 있는 스터디위드미 현상에 대한 학술적인 논의를 이끈 연구로서 의의를 찾는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focused on ‘Study with Me,’ a new study method by connecting with online space. ‘Co-presence’, the sense of studying together in the same place is presented as a key variable that can increase studying time based on media use characteristics that differ from existing media. We investigated what factors influence the formation of co-presence, and presented ‘similarity’ and ‘wishfulness’ as the dimension of perceptions about performers, and ‘simultaneity’ and ‘environmental familiarity’ as the dimension of perceptions about media attribut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users aged 17 to 39, including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was obtained from 323 peopl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imilarity and wishfulness felt by the performers, and the perceptions about media attributes of simultane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o-presence. However, environmental familiar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co-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ying time, and therefore was found to be a variable that posi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y, wishfulness, and simultaneity and studying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co-presence in the use of media with the main purpose of connectivity, unlike conventional media viewing and proposed a new theoretical discuss about the new phenomenon called Study with me spreading world-wildly sca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