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과학기술혁신에 대한 장기적인 담론 변화 연구 1967-2022년 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Long-Term Discussion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Focused on Daily Newspaper Editorials from 1967 to 2022

초록/요약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과학기술혁신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왔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국내 4개 일간지의 사설을 중심으로 비판적 담론분석을 실시하였다. 1967년부터2022년까지 총 213건의 사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67년부터 1980년 사이 한국 사회에서는 ‘과학기술진흥’과 ‘애국’ 담론이 생성되어 과학기술의 필요성과 확산을 강조하고 국민적 의무로서의 관심을 촉구했다. 1981년부터 1995년 사이에는 ‘기술혁신’ 담론이 형성되고 과학기술혁신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달했으며, 1996년부터 2014년 사이에는 ‘정책전환’ 담론과 ‘혁신체계 고도화’ 담론이 병합하여 정부의 역할 변화에 주목했다. 2015년부터 2022년 사이에는‘규제혁신’과 ‘4차 산업혁명 진흥’이 담론으로 생성되어 제도적 변화와 함께 ‘세계 선도’의 가치가 강조되었다. 담론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담론 주체, 사회적 변화에 대해 논의했으며, 과학기술혁신의사회적 수용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discussions on science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based on the editorials of 4 domestic daily newspapers.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by targeting 213 editorials from 1967 to 2022,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om 1967 to 1980, discussions on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and ‘patriotism’ developed in the Korean society, which emphasized the need for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manded interest as a national obligation. From 1981 to 1995, discussions on ‘technology innovation’ formed, and interest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eaked. From 1996 to 2014, discussions on ‘policy switch’ and ‘advancement of innovation system’ merged and focused on the changes in government roles. From 2015 to 2022, discussions on ‘regulation innovation’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motion’were developed and demanded institutional changes. In such ways, discussion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n newspaper editorials included various discussion types depending on periodical changes, and were affecting the formation and execution of science technology innovations for different times. Discussion subjects and social change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changes were discussed,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duc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