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독거노인의 외로움 감소를 위한 소셜로봇의 역할 분석 및 향후 발전 방향 kci등재

Analysis of the Role of Social Robot and Future Development to Reduce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독거노인 외로움 완화를 위한, 보다 독거노인의 욕구에 맞춤화된 소셜로봇의 개발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셜로봇의 기능과 역할을 세대별 흐름으로 분석하고, 류한석(2016)이 제시한 소셜로봇의 특징인 대화성(의사소통), 자율성(이동성), 학습성의 기준 분석 틀을 활용하여 소셜로봇 기능의 독거노인 욕구 대응에 대한 적절성과 방향성을 타진한다. 첫째, 대화 영역에서는 보다 구체화, 다양화되는 시나리오를 구성, 자가 진단과 치유까지 가능한 현장 데이터의 제공이 요구되며, 둘째, 자율영역에서는 예방 차원의 환경 인식을 통한 제어기능과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독거노인을 가정 밖으로 유인할 수 있는 외출 동반 기능의 이동성이 제시되며, 셋째, 학습적 측면에서 반려로봇으로의 진화를 위해 축적된 독거노인의 데이터를 유형별로 개인 맞춤화시킬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의 진보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기반으로 인간과 로봇, 로봇들 간의 자체 교류를 통한 학습이 진행된다면 비로소 AI 기술을 활용하는 진정한 독거노인의 정서적 돌봄 복지라는 융합적 가치가 구현된다고 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robots that are more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future in connection with the issues facing the elderly living alone to alleviate loneliness. To this end, the functions and roles of social robots are analyzed by generation, using the standard analysis framework of dialogue (communication), autonomy (mobility), and learning ability,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ocial robots presented by Ryu Han-seok (2016), the appropriateness and direction of social robot functions to respond to the need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explored. First, the conversation area requires the provision of field data that provides more concrete and diversified scenarios and further self-diagnosis and healing, Second, in the autonomous area, control functions through prevention-level environmental awareness and mobility of going out together that can attract socially isolated elderly people out of the home are presented, Third, in terms of learning, we presented advances in deep learning technology that can personalize the data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y type for evolution into companion robots. Based on these functions, learning through self-exchange between humans, robots, and robots can be said to realize the convergent value of emotional care welfar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AI technolog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