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선호도 활용 놀이를 통한 학급 차원의 또래 중재가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asswide Peer Mediation Using Play Preference on Young Children’s Social Acceptance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and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lasswide peer mediation through the use of preference-based play on the accepta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effects of peer interactions. For this purpose, two inclusive classes of 5-year-old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ior to implementing mediation, observation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determine the preference play of all children. A classwide peer mediation consisting of 3 sessions of peer instruction(large group) and 15 sessions of peer play(small group).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ation, a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ere used to examine the accepta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 case study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interactions. Given the finding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accepta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2 groups. In addition,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showed an increase in peer inte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itive effects and implication of classwide peer mediation using play preference conducted in as integrated education on educational field were discuss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선호도 활용 놀이를 통한 학급 차원의 또래 중재가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완전통합 2학급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참여하였다 유아교사와 특수교사는 중재 전에 학급의 모든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관찰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3회기의 또래 교육(대집단)과 15회기의 또래 놀이(소집단)로 구성된 학급 차원의 또래 중재를 계획하고 실시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는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는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 일반 유아의 장애 유아 수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의 장애 유아 또래 상호작용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통합환경에서 실시한 유아의 선호도 활용 놀이를 통한 학급 차원의 또래 중재가 교육 현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