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피동의 경계와 사이비 피동

The Periphery of Passive Voice and Pseudo-Passives in Korean

초록/요약

이 논문은 한국어 피동의 범주적 성격에 대해 고찰하고 피동 형식이지만 피동의 경계에 있거나 피동에 해당하지 않는 사례들을 찾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피동은 주로 파생접사에 의해 표시되어 어휘적 제약이 크나 경동사 구성, 보조동사 구성이 함께 피동 표시에 참여하므로 문법 범주의 지위를 인정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 피동은 능동과 동일하게 무표적인 통사 구조를 사용하는 동사구 차원의 문법 현상으로서 대당 능동문의 존재가 피동의 성립 요건이 아니며 행위주도 맥락에 따라 추가되는 부차적인 요소이다. 셋째, 한국어 피동은 주어가 행위자냐 피행위자냐에 따라 서술어가 교체되는 태의 일종이며 절 차원에서 목적어가 주어가 되고 주어가 사격어가 되거나 사라지는 것은 능동사가 피동사로 교체됨에 따라 발생한 결과일 뿐이다. 넷째, 능동사에 대응하지 않는 피동사에는 사동사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자동사의 강화형이 있고 피동 의미가 탈색되어 자동사화하는 경우가 있다. 다섯째, 행위주를 함의하지 않고 자연발생의 의미가 있어 ‘중동’으로 다루어지는 예들은 맥락적 변이에 해당하므로 피동의 범위에 속한다. 여섯째, ‘X-받다’, ‘X-당하다’류나 역관계 구성은 사이비 피동에 해당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what the categorial nature of Korean passives are and examines the peripheral examples of passive verbs and then reveals the existence of pseudo-passives sharing the same passive forms.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passives are mainly formed with derivational affixes and have noticeable lexical restraint. But with the help of light verb construction, auxiliary verb construction, passives can be recognized as a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Second, Korean passives have the same unmarked syntactic structure as that of actives, and considered as verb phrase-level phenomena. They don’t need corresponding active sentences as prerequisite, and the agent phrase is just an added element. Third, Korean passives can be considered as one of predicate alternation depending on the subject status as actor or undergoer. Clausally concommitant object promotion and subject demotion are just the result of this predicate alternation. Fourth, Some passive verbs which don’t correspond to active verbs went through semantic bleaching and developed into independent lexemes. Fifth, So-called middle constructions which don’t entail agent phrase and have spontaneous meanings should be included into passive constructions since the entailment and such meanings are just contextual semantic shifts. Sixth, both ‘X-patta’, ‘X-tanghata’ construction and the converse construction are pseudo-passiv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