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통합교육환경의 장애 유아를 위한 일과 및 활동 내에서의 삽입교수 관련 국내외 중재 연구 동향 분석

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Embedded Instruc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환경 내 장애 유아를 위한 삽입교수 관련 중재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중재의 방향과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2011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총 19편(국내 10편, 국외 9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과 중재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로 유아는 발달지체, 교사는 유아교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단일대상연구가 집단연구보다 3배 이상 많이 활용되었으며, 과반수 가까이 또는 그 이상의 연구에서 유지, 일반화, 사회적 타당도를 측정하였다. 셋째, 종속변인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장 많았으며, 비디오 분석으로 종속변인을 측정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연구의 중재 목적으로는 교사의 삽입교수 실행 가능성 검증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유아 대상 중재 전략으로 촉진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교사 대상 중재 전략으로는 피드백, 코칭, 중재 매뉴얼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이 혼합되어 활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중재가 삽입된 일과로는 자유선택활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환경 내 장애 유아를 위한 삽입교수 중재의 실제와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and research issues by analyzing embedded instruction studi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A total of 19 articles (10 domestic and 9 international) from 2011 to 2023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overal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ainly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le the teachers were mostly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 single case research design was used three times more than the group experimental design, and over half of the studies measured maintenance, generalization, and social validity. Third, the dependent variable was mostly social interaction, and many studies measured the dependent variable using video analysis. Fourth,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teacher's embedded instruction. Fifth, prompting was the most commonly used intervention strategy for young children, while various educational strategies were combined and utilized for teacher training. Lastly, interventions were most frequently embedded and implemented during free-play time.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p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