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자폐범주성장애 초등학생의 또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동향 및 과제 고찰

Trends and Tasks in Intervention Research to Enhance Peer Interaction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초등학생의 또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해 이루어진 국내 실험연구의 전반적인 동향과 중재 특징 분석을 통해 향후 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3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발표된 눈문 중 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19편 논문의 전반적 연구 동향과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헌 분석 결과, 첫째, 연구자는 주로 특수교사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 중 ASD 아동은 2-3명의 소수 인원으로 참여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3-4학년이 가장 많았다. 또한 상호작용 또래의 경우 비장애또래가 성인 주도의 중재 상황에서 상호작용 대상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연구 방법으로는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일반화와 유지를 모두 측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넷째, 종속변인으로 또래 상호작용은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가장 많이 정의되었으며, 특히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을 가장 많이 측정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ASD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중재에 대한 논의와 향후 과제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s and tasks of intervention research to enhance peer interactions for elementary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 Among the domestic studies published from 2003 to 2023, 19 studies were selected specific criteria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ir overall research trends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Result: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inly conducted the studies. Second, participants with ASD were mainly 3rd-4th graders, and their peers were mostl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played the role of interaction partners in adult-led interventions. Third, a single case study was the most widely used, and both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were not measured in many studies. Fourth, peer interaction was defined as social interaction in most cases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initiation and reaction were the most measur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intervention for peer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ASD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task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