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적장애 성인을 위한 일상생활 기술 중재 관련 국내외 단일대상연구의 동향 및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Analysis of Trends and Quality Indicators of Single-Case Research on Teaching Independent Living Skill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초록/요약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independent living skills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vide insights into educational support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ulthood. [Method]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17 articles were selecte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participant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study design and procedures, and the qualitative aspects of each article were evaluated based on quality indicators proposed by the CEC. [Results] The majority(70.6%)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were under the age of 29. The types of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as prompting strategies, reinforcement strategies,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and assistive technology interventions. For the dependent variable, sub-skills of independent living skills included healthcare, cooking, wayfinding, and cleaning. The majority of single-subject studies presented findings using a multiple baseline design and analyses of the intervention setting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s were delivered in educational or residential settings. When analyzed in terms of CEC qualitative indicators, no study met all indicators, with an average of 80.6%. [Conclusion] Research on independent living skills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educational support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in quantity and quality. Furthermore, more well-designed and well-executed single-subject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best practice in independent living skills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re

초록/요약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기술을 교수한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CEC의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 성인을 위한 일상생활 기술 중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성인기 지적장애인을 위한 교육 지원에 통찰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분석 대상 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2013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학술지 논문 17편을 선정하였다. 출판 연도, 연구 참여자, 독립변인, 종속변인, 실험설계 및 절차를 틀로 삼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CEC에서 제시한 질적지표의 8개 영역, 22개 지표를 근거로 각 논문의 질적 측면을 평가하였다. [결과] 지적장애 성인에게 일상생활 기술을 교수한 단일대상연구의 연구 참여자 연령은 대부분(70.6%) 29세 미만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활용된 독립변인의 유형은 촉진 전략, 강화 전략, 자기관리 중재, 보조공학 활용 중재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 시각적 촉진, 비디오 모델링 등의 촉진 전략이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었다. 종속변인에 해당하는 일상생활 기술의 하위 기술로는 건강 관리, 요리 및 식사, 길 찾기, 청소 기술 등이 제시되었다. 과반수의 단일대상연구는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유지와 일반화를 측정한 연구는 소수의 국내 연구에 불과하였다. 중재를 제공한 환경에 대한 분석 결과 학교 등의 교육기관 또는 가정 등의 거주시설에서 일상생활 교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CEC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결과 모든 지표를 충족한 연구는 없었으며 평균 80.6%의 충족률을 보였다. [결론] 지적장애 성인 대상의 일상생활 기술 중재 연구는 중·노년기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평생교육 차원에서의 교육적 지원이 양적 및 질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재 효과의 유지와 일반화까지 입증하거나, 여러 중재 간의 상대적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교대중재설계를 도입하는 등 연구 설계 차원에서의 개선이 요구된다. 더불어 지적장애 성인을 위한 일상생활 기술 중재의 최선의 실제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더욱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수행된 단일대상연구가 필요하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