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국 국공내전시기(1946-1949) 국민당 정부의 대내외 선전전략 분석

The Nationalist government’s Propaganda Strategies during the Civil War in China, 1946-1949

초록/요약

본 논문은 중국의 국공내전 시기 국민당 정부의 대내외 선전 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선전 효과의 한계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내전시기 국민당 정부의 선전기구 개편, 국민당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서사 구축, 반공서사 구축 등의 선전 전략의 입안 과정, 시행 방침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국공 양당의 선전에 대한 연구들은 중일전쟁 시기의 공산당, 국민당의 선전 노력에는 주목한 반면 국공내전 시기의 국민당의 선전전략은 내전의 승패를 가르는데 매우 중요한 부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내전 시기 국민당 정부의 반공선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후 국민당은 다양한 주류 매체에 직접적인 통제를 할 수 있게 되어 선전정책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전례 없는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는데 불구하고 우호적인 여론 형성과 반공선전을 통한 대중 설득을 하는데 실패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당 선전 전략의 입안 과정에서의 선전내용의 서사 구축에 주목해서 중앙집권적 방법으로 이루어지면서 대중의 정서를 반영하지 못한 선전의 서사 구축을 하게 된 것을 선전의 한계의 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 중국공산당이 당시 반내전 운동의 주장에 적극적으로 호응하여 독립, 민주, 평화의 명확한 메시지를 일관성 있게 낸 반면 국민당은 당시 반전, 반미, 반일, 민주 등의 여론, 대중 정서를 반영한 메시지를 내지 못하였던 것이다. 특히 장제스와 국민당 정부가 헌정체제와 전시동원체제 수립을 동시에 추구하는 딜레마에 직면해서 “공비토벌”을 헌정체제로 나가기 위한 선결과제로 설명하면서 “민주”와 전시동원을 위한 반대세력 탄압의 정당화라는 모순적인 메시지로 대중을 설득하고자 하였던 것이 선전 효과의 한계를 가져왔다.

more

초록/요약

This article explore the reasons behind the limits of the Nationalist government’s propaganda effect by analyzing the Nationalist government’s propaganda strategies during the Civil War period (1946-1949) in China. This work focuses on the Nationalist government’s reorganization of propaganda institutions, construction of narrative to improve the images of the Nationalist Party, and the construction of anti-Communist narrative by the Nationalist government during the Civil War. Only a few studies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ist government’s propaganda strategies during the Civil War, despite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Nationalist government’s propaganda on its eventual defeat. Further, few study focus on the Nationalist government’s anti-Communist propaganda during the Civil War period. Although the Nationalist government was in a favorable position to influence public opinion in the postwar period due to its takeover of major news media, it failed to win the hearts and minds of the people both a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 I argue that the limited effects of the Nationalist propaganda can be attributed to the failure of constructing the propaganda narratives that reflected the preexisting public sentiments due to the centralized propaganda mechanism during the Civil War. Further, because the Nationalist government pursed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and wartime mobilization system, it faced a dilemma to send out mixed messages of the pursuit of democracy and justification of suppression of dissent for war mobiliz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