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도시공원 경계부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입체적 도시 설계(안) 제안 - 부산시민공원을 사례로

A Three-dimensional Urban Design Proposal to Improve Connectivity of Urban Park Boundaries through the case of Busan Citizens Park

초록/요약

도시공원의 경계부는 도시의 주요 공공공간으로 주변 도시조직과 공간적ㆍ기능적으로 연계되어 다중적 성격을 가지는 경계부로의 섬세한 계획이 필요하다.􀀁 이는 경계가 서로 다른 성격의도시 영역을 구분하는 동시에 매개하고 연계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보행 동선,􀀁 시각적,􀀁 프로그램적 연결을 통해 도시공간의 다양한 활동을 담아내는 장소로서의 장소성과 영역들 사이의 상호침투 및 물리적ㆍ시각적 개방성을 부여하는 다공성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입체적 도시설계 전략으로는 계단ㆍ경사로ㆍ공중 가로,􀀁 연속된 바닥면을 통한 동선의 연결,􀀁 재료의 시각적 투과성을 활용한 시각적 연결,􀀁 공공건축물 또는 광장조성을 통한 프로그램적 연결이 있다.􀀁 이러한 도시공원 경계부의 입체적 설계전략의 적용 사례로서,􀀁 현재는 다소 폐쇄적이고 단절적인성격으로 조성된 부산시민공원 경계부를 대상으로 입체적 도시설계 제안(안)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urban park’s boundary serves as a significant public space within the city, requiring meticulous planning due to its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urban area. This boundary distinguishes, mediates and connects urban area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creating sense of place that captures various activities in urban space including pedestrian circulation, visual and programmatic connections. Achieving this involves pedestrian pathways, visual and programmatic links, and porosity for physical and visual openness. Three-dimensional urban design strategies include stairs, ramps, aerial streets, connection of circulation through continuous floors, visual connection using the visual permeability of materials, and programmatic connection through the creation of public buildings or plazas. As an illustration, a three-dimensional urban design proposal (draft) was presented for the boundary of the Busan Citizens Park to transform its current closed and disconnected condi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