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경험 관련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효과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논문 175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 가해경험 관련 보호요인 중 개인특성 변인이 가장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학교환경, 가정환경의 효과크기가 그 뒤를 이었다. 개인특성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아탄력성, 가정환경 변인에서는 긍정적인 부모-자녀 관계, 학교환경 변인에서는 학급응집력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조절효과를 검증한 분석에서 학교급에 따른 학교환경 변인군에서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의 관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교폭력 가해경험 관련 위험요인의 효과크기는 학교환경, 지역사회, 개인특성, 가정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환경 하위요인 중 가해·피해경험, 지역사회 변인 중 유해환경, 개인특성 변인 중 폭력허용도, 가정환경 변인 중 부모-자녀 폭력과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에 따라 중학생은 가정과 학교 변인 군, 초등학생은 지역사회 변인군에서 큰 관련성을 보였다. 본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감소·예방하는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meta-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size of protective and risk factors related to violence experiences at school. Results show that the individual level appeared to have the largest effect size among the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s, followed by the school and family level. Specifically, we found the greatest effect size with resilienc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at the family level, and class cohesiveness at the school level. As for the risk factors, the school-level variable appeared to have the largest effect size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experiences, followed by the community, individual and family level factors. Specifically, we found the greatest effect size with violence acceptability among the individual level factors, parent-child violence among the family level factors, previou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bullying among the school level factors, and harmful environment among the community level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reduce and prevent adolesc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were recommended for follow-up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