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근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지적장애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chool Counselors’ Work Experience in Special Schools: Focus o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들이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문상담교사 2급 이상 자격증을 소지하고 특수학교에서 1년 이상 전문상담교사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최종적으로 국내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 중인 전문상담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91개의 구성된 의미, 51개의 주제와 19개의 주제모음 및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6개의 범주는 ‘준비 없이 특수학교 상담이라는 낯선 상황에 놓임’, ‘지원과 체계 미비로 어려움을 겪음’, ‘낯선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역량을 키움’, ‘특수학교 체계에 적응 및 보완해나감’, ‘여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들을 마주함’,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전문상담교사의 근무 경험 및 의미와 제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school counselors’ work experience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ven school counselors with a level 1 or 2 school counselor certificate and more than a year of experience working in special schools were interviewed.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yielding 191 constructed meanings, 51 themes, 19 theme clusters, and 6 categories. The six categories were ‘Placed in an unfamiliar special school counseling setting without preparation’, ‘Struggled due to lack of support and system’, ‘Individually developed competence to overcome unfamiliar situations’, ‘Adjusted to and enhanced the special school system’, ‘Faced challenges that are still difficult to solve’, and ‘Formed identity as a special school counselor’. Based on the findings, the work experience of special school counselors, the direction of system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