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식기반 혁신과정 고찰: 미국 연구지원 프로그램의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Knowledge-based Innovation Process: Evidence from the U.S via a Topic-Modeling Approach

초록/요약

본 연구는 지식기반 혁신과정을 통해서 신산업이 등장함을 가정하고, 신산업 등장에서 있어서 과학과 기술의 역할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특히, 지식기반 혁신과정의 초기단계에 주목하여, 과학지식이 만들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이 개발되는 과정을 혁신산출물(논문 또는 특허)의 빈도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각 혁신산출물들의 토픽을 도출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어떤 과학지식기반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그것이 신산업의 등장을 유도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미국의 연구지원 프로그램에 지원을 받은 기초연구에 대하여 빈도분석 및 네트워크분석은 물론 토픽 모델링을 실시하였고, 이 분석에서 도출된 연구분야를 중심으로 실제 어떤 기술이 개발되는지 특허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IT분야에서의 기술이 세분화되고 다변화되고 있었지만, 그 과정 속에서 인간-기계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이 정교화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서, 실제 새롭게 등장한 산업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가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하였다.

more

초록/요약

Acknowledging that the emergence of a new population (or an industry) unfolds through the knowledge-based innovation processes, we examine the rol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early stage of the knowledge-based innovation processes, investigating the process in which cre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s associated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le counting the number of the artifacts of the innovation processes (i.e. research articles or patents) is useful to capture the innovation processes, it is limited to specify what topics have been newly developed, advanced, or proliferated. To reconcile the limitations of the count-based analysis of innovation, we employ a topic modeling approach, as well as the conventiaonl approach (i.e. frequency-based analyses and network analyses). Specifically, we apply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method to the U.S research grant programs and patents filed to the USPTO to figure out the topics which appear collectively and frequently. Then, we attempt to explain how the emergence of the new industries which unfolds in our society (such as the platform businesses, the mobility field, etc.) can be explained by the topics developed from scientific areas and technological area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