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재난의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재난 리질리언스 개념 및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재고찰 필요성과 시사점

Re-visiting the concept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A focus on disaster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초록/요약

그동안 리질리언스 연구는 주로 단기간 제한된 지역에 피해를 주는 재난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고에서는 향후 감염병 재난과 기후위기 등 중장기적, 점진적 재난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리질리언스 개념과 프레임워크 구성에 있어 재난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제안했다. 우선 지역사회 단위 재난관리 중요성과 사회생태학적 리질리언스, 지역사회 재난 리질리언스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중 자본과 속성을 개관했다. 그리고 코로나19 재난상황에서 해당프레임워크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 후 다음과 같은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자본, 속성의 특성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들 간 관계 변화가능성에 주목할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에 단일한 지역사회 단위로 이해되었던 프레임워크 내에서 정부와 비영리부문의 고유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을 주지하고 이에 대한 이론화 연구가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Existing resilience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disasters that affect a limited area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types of disasters need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developing resilience concepts and frameworks, as it is expected that mid-to-long-term, as well as gradual disasters such as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and climate crise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With this regard, we first review the importance of community-level disaster management, the concept of socio-ecological resilience, and 'capitals' and 'attributes' as components of the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framework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orizing and measuring resilience. Then, we review the applicability of the framework in the context of the prolonged COVID-19 disaster in South Korea and draw main implications. One, future research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pitals and attributes and how their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may change over time. Two, the unique capabilities and strengths of government and the nonprofit sector within the framework, which have been understood as a single unit as a community, may change and further theorizing is nee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