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verall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A total of 799 studies, including 534 dissertations and 265 articles on peer relationships among 3- to 5-year-olds,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984 and 2022 i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overall trends and the trends by research top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studies steadily increased until 2020 followed by declination since 2021; ‘peer competence' appeared to be the most frequently chosen topic; 5-year-olds were the most targeted age group;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dominant in terms of research method. Second, looking more closely at the trends across research topics majority of the studies focused on 5-year-olds in all topics, but the proportion of each age group slightly varied across topic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mixed methods were most common across most topics, but the proportion within topics was slightly different. As of research instruments by topics, most of them were translated from foreign instruments and were rated by ad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extend research subjects to younger age groups, to revisit topics that have received less attention, and to develop qualitative approaches and quantitative instruments that fit the purpose and context of the research.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984년부터 2022년까지 3세-5세 유아를 대상으로 발표된 국내 학위 논문 534편과 국내 학술지 논문 265편, 총 799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전반적 경향, 연구주제에 따른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반적 경향에서 연도별로는 2020년까지 꾸준히 증가되어왔으나 2021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연구주제별로는 ‘또래유능성’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별로는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압도적이었다. 둘째, 연구주제에 따른 경향을 좀더 면밀히 살펴보면, 연구대상은 모든 주제에서 5세를 대상으로 한 것이 과반을 넘었지만, 각 주제 내에서의 연령별 비중은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연구방법도 대부분의 주제에서 양적혼합연구가 가장 많았지만, 각 주제 내에서의 비중은 차이가 있었다. 주제별 주요 연구도구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대체적으로 외국의 도구를 번역하여 활용하였으며, 대부분이 성인이 평정하는 도구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연구대상이어린 연령으로 확장되어야 하며, 비교적 관심도가 낮은 연구주제의 재조명이 요구되고, 연구의 목적과맥락에 맞는 질적인 접근과 연구도구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