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비정규직과 정규직 비교연구 동향분석에 기반한 사무비서직 종사자에 관한 시사점 제안연구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emporary Workers and Permanent Workers: Implications for Office Secretarial Worker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비정규직과 정규직을 비교하는 양적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특징을 파악하고 사무비서직 종사자의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기간을 지정하지 않고 2023년 9월 기준에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비정규직’, ‘비교’, ‘분석’을 키워드로 사용하여 양적연구로 진행한 국내 학술 논문 41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규직과 정규직에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2003년 이후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2005년과 2017년에 해당 연구가집중적으로 발표되었다. 게재지별로는 경영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연구대상 논문은 서비스업 종사자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패널조사가 주로 사용된 연구 방법이었으며, 종단연구와 횡단연구가 모두 활용되었다. 연구분석 방법은 독립변인의 종속변인에 대한 영향력을 요인별로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과 비정규직과 정규직비교를 위한 t-test를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임금 차이 분석을 위해서는 Oaxaca 분해가 활발히 사용되었다. 셋째, ‘직무만족’이 가장 많이 사용된 종속변인이었으며, 그 외 다양한 변인들이활용되었다. 독립변인으로는 고용 형태를 제외하고는 임금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변인 중 빈도가 높은 고용 형태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주제어로도 자주 사용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사무비서직 종사자의 고용 형태 연구에 관한향후 연구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by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quantitative research comparing temporary and permanent workers in domestic journals, to offer insight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tinent to office secretarial workers in the temporary employment sectors. Forty-one papers conducted as quantitative research using ‘temporary workers’ and ‘comparison’ as keywords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of September 2023.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emporary and permanent workers has been conducted steadily in Korea since 2003. By publication, the most ac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management. Secon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service workers and women in the research subject papers. The primary research methods were surveys and panel studies, using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approaches. Common analysis methods included t-tests and regression to assess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ones. Third, 'job satisfaction' was the most used dependent variable, and various other variables were assessed.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tudies on the employment patterns of office secretarial worke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