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과제 제시 방법에 따른 다시말하기에서 ADHD 동반 및 단순 읽기부진 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mazes) 및 정보단위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Linguistic Disfluency(mazes) and Information Unit in Story-retelling Tasks among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with and without ADHD Comorbidity and Typical Children

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이야기 다시말하기 과제를 통해 일반아동, 읽기부진 아동, ADHD 동반 읽기부진 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mazes) 및 정보단위 산출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3~5학년 일반아동, 읽기부진 아동, ADHD 동반 읽기부진 아동에게 이야기 다시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집단 및 과제 유형(듣기, 읽기)에 따른 언어적 비유창성 및 정보단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집단이 듣고 다시말하기 과제에 비해 읽고 다시말하기 과제에서 언어적 비유창성이 더 높았으며, 세부 유형 중에서는 간투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듣고 다시말하기에서 읽기부진 및 ADHD 동반 읽기부진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언어적 비유창성을 유의하게 많이 산출했다. 듣고 다시말하기의 어절별 언어적 비유창성 산출비율이 일반아동에 비해 읽기부진 및 ADHD 동반 읽기부진 아동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정보단위 산출비율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읽고 다시말하기의 정보단위 산출비율이 일반아동에 비해 ADHD 동반 읽기부진 아동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읽기부진과 ADHD 동반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 및 듣기 이해 및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을 고려하여 이야기 구성 및 산출을 지도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disfluency (mazes) and information units (IU) in typical children (TC),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RD), and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with ADHD comorbidity (RDADHD) using story-retelling tasks. Method: We administered story-retelling tasks (listening vs. reading) to children between 3rd and 5th grades from the TC, RD, and RDADHD groups and examined the occurrence of mazes and IUs on each group and task. Results: All three groups displayed a higher number of mazes during the reading condition, with filled pauses being the most frequent type observed. Both the RD and RDADHD produce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mazes per IU and fewer IUs than the TC in the listening condition. Moreover, the RDADHD group generated significantly fewer IUs compared to the TC in the reading condition. Conclusion: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zes in the RD and RDADHD group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when instructing these children on story construction and produ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