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예비교사를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ata Literacy Measurement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예비교사 데이터 리터러시의 하위영역을 구성하고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여 예비 설문을 구성하였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도구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고찰과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35개의 예비문항이 도출되었고, 이를 229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1차 설문을 수집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0문항을 제외한 25문항이 구성되었다. 최종문항으로 2차 설문을 수집하여 291개의 데이터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TLI 값은 .903, CFI 값은 .914, RMSEA 값은 .064로 자료의 적합도가 검증되어, 예비교사 데이터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단일차원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집중타당도와 변별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집중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모두 확보하여 모델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문제 확인 및 정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데이터 분석 및 표현, 교수적 의사결정, 평가 및 성찰 총 5개 영역, 25문항으로 구성된 최종도구의 전체 신뢰도는 .9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위한 데이터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데이터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측정도구를 활용함으로써 예비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점검하고, 예비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증진시킬 수 있는 사범대 교과과정이나 교사를 위한 연수과정의 설계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of data literacy measurement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s. For achieving research purpose, literature reviews of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sub-domains of data literacy for pre-service teachers. Additionally, expert opinions were sought and incorporated to develop a preliminary survey. Furthermor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alidate a measurement instrument.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validation, 35 preliminary items were derived. Subsequently, a first-round survey was conducted with 229 pre-service teachers. The final set of items included 25 items, while 10 items were exclud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291 participants using the final set of items from the second-round survey. The analysis yielded fit indices of TLI = 0.903, CFI = 0.914, and RMSEA = 0.064, indicating that the data fit well with the proposed model. As a result, the measurement instrument’s uni-dimensionality for assessing data literacy was confirmed. The findings, which substantiate both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dicated that the model is valid for measuring data literacy.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final measurement instrument was found to be 0.95.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ata education for educators and provides a framework that can be used in teacher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educators can assess their data literacy by offering the data literacy measurement instrument and enabling data-driven pedagogical interventio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