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의 절차에 대한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낯선 사람 및 친구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사회적 증명-접근 목표와 사회적 증명-회피 목표의 조절효과

Relations between Procedural Justice Beliefs for the Self and Prosocial Behavior toward Strangers and Friend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Goal and Social Demonstration-Avoid Goal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의 기제를 설명하고자, 절차에 대한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낯선 사람 및 친구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증명-접근 목표와 사회적 증명-회피 목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159명(평균 연령 21.01세)의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절차에 대한 개인적 공정세상신념은 낯선 사람 및 친구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낯선 사람 및 친구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에 대해 절차에 대한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사회적 증명-접근 목표 및 사회적 증명-회피 목표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낯선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자신의 사회적 유능함을 보이려는 동기가 높은 수준일 때, 친구 관계에서는 자신이 사회적으로 무능하지 않음을 보이려는 동기가 높은 수준일 때 자신에게 절차 공정성이 있다고 믿을수록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절차에 대한 개인적 공정세상신념의 개별적 효과를 알아보고, 친사회적 행동을 관계에 따라 나누어 각 관계에서 서로 다른 사회적 동기가 작용함을 밝혔다는 의의를 가진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e mechanism underlying undergraduat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I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goal and social demonstration-avoid go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beliefs for the self(PJB-S) prosocial behavior towards strangers and friends, respectively. Analyzing survey data from 159 undergraduate students(average age 21.01), the results indicated that PJB-S did not directly predict prosocial behavior towards strangers or friends. However,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PJB-S and social demonstration goals on prosocial behavior towards strangers and friends were observed. Specifically, in relationships with strangers, when individuals had a high motivation to demonstrate that they are socially competent, higher levels of PJB-S was associated with elevated levels of prosocial behavior. While, in relationships with friends, when individuals had a high motivation to demonstrate that they are not socially incompetent, PJB-S was positively related to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JB-S and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different social motives operating in different relationships to explain prosocial behavio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