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노동의 위기와 유희의 정치생태학

The Crisis of Labor and Political Ecology of Play

초록/요약

As many have pointed out, today humanity is experiencing a 'crisis of labor' due to factor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limate crisis. In fact, historically speaking, the idea that labor defines human essence was not universal; it emerged during a specific period in the mid-19th century. Since that time, labor has been understood as human self-realization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nature. On the other hand, when referring to significant studies on play, it is not merely a supplementary activity opposed to labor, but an essential and subconscious force that has generated various dimensions of human civilization. Play revolves around respecting mutually rules among individuals and is found across the spectrum from animals to humans. This article, from the perspectives of Bruno Latour's political ecology, Schiller's play impulse, and Hannah Arendt's critique of labor addiction, aims to propositionally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arth, viewed through the lens of play, should become an alternative principle for future society.

more

초록/요약

오늘날 인류는 인공지능과 기후위기 등으로 인해 ‘노동의 위기’를 겪고 있다. 사실 노동을 인간의 본질로 규정했던 관념은 보편적이었던 것은 아니고, 19세기 중반에 등장한 것이었다. 이때 노동은 자연의 변형을 통한 인간의 자기실현이라고 이해되었다. 반면 놀이에 대한 연구들을 참조할 때, 놀이 또는 유희는 노동과 대립하는 부수적인 활동이라기보다 인간 문명의 다양한 차원을 생성시켜왔던 본질적이고 무의식적인 동력이다. 놀이는 상호간에 규칙을 존중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며, 동물부터 인간까지 모두 발견된다. 이 글은 브뤼노 라투르의 정치생태학, 실러의 유희충동, 한나 아렌트의 노동 중독 비판의 관점에서, 인간과 지구 사이의 유희가 미래 사회의 대안적 원리가 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시론으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