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치인의 바른 언어 사용 평가를 위한 연구 : 상임위원회 회의록 중심의 공론장 발언 평가 측정 방법의 개발

Research for Evaluating Politicians civil language use: Development of a Method to measure politicians’ discourse based on Standing Commitee Meeting Minut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국회의원으로 대변되는 정치인의 바른 언어 사용을 평가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공유하는 연구이다. 개발한 방법은 상임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국회의원의 바른 언어 사용을 평가에 활용되었고, 본 논문은 바른 정치 언어 확산을 위한 정치인의 발화 분석 방법의 설명서(매뉴얼) 성격을 지닌다. 정치인의 바른 언어 사용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부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품격있는 언어 사용을 평가하는 긍정 품위어 평가 방법과 비속어, 막말 등 좋지 않은 부정 발화 평가 방법을 결합하는 방식을 개발하였다. 실제 분석에서는 부정 발화 평가 방법을 먼저 적용하고, 이후 긍정 발화 평가에 기반한 순위 리스트를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부정 발화 분석은 국립국어원의 표준대백과사전에 기반하여 비속어 용례를 국회의원들의 발언 속에서 찾아보는 단어 기반 평가에서 시작하여, 텍스트 마이닝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실제로 발언된 단어 색인화 분석, 연구진의 무작위 추출 검토 및 뉴스와 유튜브 검색, BERT라 불리는 딥러닝 자연어 처리 기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문장에서 문단에 이르기까지 발언 내용이 가지는 맥락을 파악하는 방식을 동원하였다. 긍정 발화 분석은 구절 수준에서 가장 많이 발화된 표현을 찾고, 품위성과 소통성에 해당하는 ‘예의와 존중’, ‘당부’, ‘의견질의’, ‘사실확인’, ‘진술문 형식’의 5개 영역의 16개의 표현을 통해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발화 빈도와 함께 품위어 발화 가중치로 계산하여 각 정치인의 바른 언어 사용을 순위화하는 절차를 만들었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해 도출된 측정 방법은 정치인의 바른 언어 사용의 문화가 확산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more

초록/요약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d disseminate a methodology for assessing and quantifying the employment of civil language by politicians, specifically focusing o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examines the utilization of civil language by members during standing committee meeting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minutes. The objective is to analyze politicians’ speeches and utilize the findings to encourage the adoption of civil political language in public discourse. This study presents a novel approach that integrates the assessment of positive and respectful language with the evaluation of negative speech, encompassing the use of profanity and impolite comments. This approach was produced after thorough theoretical deliberations. The initial phase of the investigation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negative speech evaluation approach, which was subsequently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a hierarchical list based on positive speech assessment. The initial phase of the negative speech analysis involved employing a methodology to assess the utilization of profanity in the politicians’ statements. This methodology was derived from the Standard Encyclopedia Dictionary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ubsequently, the analysis progressed by employing text mining techniques to index the precise verbal expressions used. Additionally, the researchers conducted a random sampling review and conducted searches on news articles and YouTube to further augment the analysis. Furthermore, a contextual approach was utilized in the study, employing deep learn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gorithms, specifically BERT, to effectively comprehend the contextual nuances of the speech, ranging from individual sentences to entire paragraphs. The analysis of positive speech entailed identifying the most commonly used phrases and assessing them based on 16 expressions across five theoretical dimensions related to dignity and communicability. These dimensions include ‘courtesy and respect’, ‘advice’, ‘opinion inquiry’, ‘fact verification’‘ and ‘statement format’. The ultimate ranking was determined by considering both the frequency of speech and the weighted value assigned to dignified discourse.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provide a valuable contribution towards the advancement of methodologies for assessing the utilization of civil language by politicians and the dissemination of a culture that promotes civil language us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