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아동기외상이 정서인식명확성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자기분화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Emotional Clarity: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Differentiation of Self

초록/요약

본 연구는 아동기외상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자기분화의 개별 매개효과 및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276명이 응답한 설문자료를 SPSS 28.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기외상이 정서인식명확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외상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아동기외상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아동기외상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자기분화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동기외상이 정서인식명확성에 미치는 총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EA) and differentiation of self (DOS), as well a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CT) and emotional clarity (EC). A total of 276 adult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18 completed the survey, which was analyzed using SPSS 28.0 and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6. First, the direct effect of CT on EC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 full mediating effect of EA and DO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T and EC.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A and DOS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T and EC. Finally, the total effect of CT on EC was deemed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