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역 연계 노동인권교육의 방향성: 서울 초·중·고 교사 대상 FGI를 중심으로

Toward Localized Labor Rights Education: FGI Research wi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을 사례로 현장 교원들의 인식과 경험에 근거하여 지역 특성 및 지역 교육과정에 연계한 현장 적합성이 높은 학교 노동인권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노동인권교육에 관심과 전문성이 있는 서울 국공립 초·중·고등학교 교사 9인을 대상으로 FGI(초점집단면담)를 실시한 본 연구는 서울의 지역적 맥락성과 지역 교육과정의 특수성을 반영한, 동시에 협력적·융합적·포용적 성격의 학교 노동인권교육 지향점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학교 현장 수업 실천, 교원 지원 제도 개선 3가지 차원에서의 구체적·실질적 방안이 현장 교원들에 의해 제안되었다. 첫째, 서울 지역의 다층적, 가변적 산업 구조와 일의 유형을 반영하고, 지역내 다양성 및 양극화를 고려한, 시의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내용을 반영한 학교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실생활 연계형, 참여형, 주제·쟁점 탐구형 수업의 효과가 강조된 가운데 지역사회 협력 및 지역 교육과정 정책 연계의 중요성이 도출되었다. 셋째, 교원 연수에 노동인권교육 연관 내용을 포함시키는 동시에 자발적 교원학습공동체에 대한 지원을 통해 장기적 비전과 지속적 실천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었다. 연구 결과는 향후 지역 ·학교 차원 노동인권교육 제고를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 미래 과제와 시사점을 제안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xplore localized, contextually-situated labor rights education in schools based on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in-service teach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adopting FGI (Focus Group Interviews) with 9 elementary, middle, and high public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tise in labor rights education, sought to portray the direction of school labor rights education that reflects the specificity of Seoul's regional context and the local curriculum while also being universal, integrative, and inclusive in nature. The research results led to specific and practical suggestions from teachers in three dimensions: curricular contents, classroom practices, and policy support. First, the need for labor rights education in schools was emphasized, which reflects the multi-layered and variable industrial structure and types of work in Seoul, while considering regional diversity and polarization, and also focusing on timely and future-oriented social chang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real-life integrated, participatory, and issue-based inquiry methods was highlighte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ies and the integration of regional curriculum policies. Third, it was suggested that labor rights education content be includ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s mandatory while also supporting voluntary learning communities of educators to facilitate long-term vision and continuous practice.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labor rights education at the regional education levels in the future and offer insights into future implicatio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