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근로장려세제(EITC) 확대 개편의 정책 효과성 분석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Expanded Reorganization Earned Income Tax Credit(EITC)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근로장려세제의 정책적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근로 장려세제(EITC)는 저소득 가구의 근로를 유인하면서 소득지원을 하기 위한 제도로, 2009년 한국에 도입된 이후 꾸준히 확대 개편되어 왔다. 특히, 2018년 세법개정을 통해 지급 가구 수는 2배 이상, 지급액은 3배 이상 대폭 확대되어 현재 4조 4천억 규모에 이 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2018년 확대 개편된 근로장려세제의 정책 효과 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22차, 23차 자료를 활용 하였다. 성향점수매칭(PSM)으로 수급 가구와 비수급 가구를 유사하게 구성한 뒤, 두 집 단의 경제활동참여, 노동시간, 가구총소득에 대한 이중차이분석(DID)을 실시하였다. 분 석결과, 근로장려세제의 확대 개편은 유의미하게 수급가구의 경제활동참여를 감소시키 고, 근로시간은 증가시키며, 가구의 총 소득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장 려세제의 고유한 지급 구조에서 비롯되는 소득효과 및 대체효과와 관련이 있으며 이와 같은 효과를 토대로 근로장려세제의 정책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expanded reorganization Korea‘s EITC. EITC is a system to induce low-income households to work and provide income support. It has been steadily expanded reorganizing since it was introduced in 2009. In particular, through the revision of the 2018 tax law, the number of households received has more than doubled and the amount received has more than tripled, reaching 4.4 trillion scale now.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licy effects of the EITC, which was reorganized in 2018. To analyze this, the 22nd and 23rd data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were use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method was applied to similarly organize the receiving and non-receiving households. And the Difference in Difference analysis(DID) was conducted on the two group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working hours, and total family income. As a result, the expanded reorganization of EITC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pa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ncreased working hours, and reduced total family income for receiving households. This is related to income effect and substitution effect, starting with the EITC's unique payment structure. Based on these effects, the policy implications of EITC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