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길맹 보행자의 대형 실내공간 길찾기를 위한 웨어러블 AR 내비게이션 디자인 제안

Design Proposal of Wearable AR Navigation for Directionally-Challenged Pedestrians in Large-Scale Indoor Spaces

초록/요약

길눈이 어두운 이들은 길을 찾는 과정에서 일반인들보다 큰 심리적 압박과 에너지의 소모를 경험한다. 최근 보편화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통해 길맹 보행자들의 길찾기 어려움이 일부 해소되고 있으나, 기술적인 제약 등으로 인해 원활한 서비스는 실외 공간으로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GPS 측정이 쉽지 않은 실내 대형 공간에서의 세부 보행 단계에 집중하여 길맹 보행자가 경험하는 길맹 현상을 완화하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때 모바일을 활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스마트폰과 전방을 번갈아 주시하며 스크린 속의 2차원 정보를 현실에서 재구성하는 과정이 요구되며이로 인해 사용자의 피로도와 안전성의 문제가 두드러진다. 따라서 3차원 현실 공간에서 즉각적인 정보 확인이 가능한 증강현실을 활용한 길맹 현상 완화 웨어러블 AR 서비스의 UI 디자인을 제안하고자한다. 연구 방법의 경우 두 차례 대형 실내 공간에서의 사용자 조사를 통하여 길맹 보행자들의 길찾기메커니즘 도출과 함께 4가지 문제점을 정의하였다. 이는 다수의 목적지 설정에 대한 니즈, 경로 및 방향 재설정에 관한 니즈, 보행자 방향 인식 문제, 그리고 센서의 방향 인식 문제였다. 현재 사용 가능한서비스를 통해 정의된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솔루션 및 컨셉을 연구결과로 제안한다. 첫째, 출발 전뿐 아니라 보행 중 다수의 목적지를 추가 및 수정하여 최적의 경로를안내받도록 한다. 둘째, 중간 경유지 도착 및 재 출발 시 방향 설정 솔루션을 제안한다. 셋째, 보행자의 방향 인식 문제의 해결로 구체적인 UI 디자인을 제시하며, 넷째, 센서의 방향 인식 측면에서는 경로를 모니터링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길맹 현상 완화를 위한 다각도의 디자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Those with dark sense of direction experience greater psychological pressure and energy consumption than ordinary people in the process of finding a way. Although some of the difficulties of street-blind pedestrians have been resolved through navigation services that have recently become common, smooth services are limited to outdoor spaces due to technical restri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icient way to alleviate the road blindness phenomenon by focusing on detailed steps that occur while walking in large indoor spaces where GPS measurement is not easy. At this time,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mobile require a process of reconstructing two-dimensional information on the screen in reality by alternately looking at the front of the smartphone, which highlights user fatigue and safety problem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propose the UI design of a wearable AR service that can immediately check information in a three-dimensional reality space. In the case of research methods, four problems were defined along with deriving the wayfinding mechanism for street-blind pedestrians through two user surveys in large indoor spaces. This was a need for multiple destination settings, a need for route and direction reset, a pedestrian direction recognition problem, and a sensor direction recognition problem. The possibility of solving problems defined through currently available services was examined, and the following specific solutions and concepts were proposed as research results. First, not only before departure, but also during walking, a number of destinations were added and modified to guide the optimal route. Second, a direction setting solution was proposed for arrival and re-departure of intermediate stopovers. Third, a specific UI design was present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pedestrian direction recognition, and fourth, a method of monitoring the path in terms of sensor direction recognition was propose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various design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alleviate the problem of street blindne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