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동시대 미술에서 육화된 고통의 표상이 발화하는 존재론적 전회

Ontological Turn Projected by the Representation of Embodied Suffering in Contemporary Art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 이후의 동시대 미술에서 육화된 고통의 표상이 어떤 개별적 표현양식을 갖는지 존재론적 전회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크게 둘로 나뉜다. 2장에서는레비나스, 앙리, 자케, 홀브라드와 페데르센의 주요저작 및 2차 문헌을 바탕으로 프랑스 현상학의 살과 몸에 대한 담론에서 육화된 고통이 어떻게 성찰을 통해 삶의 부정성에서 긍정성을 산출하는지에대한 이론적 근거뿐 아니라 인류학의 긍정적 의제인 존재론적 전회 개념을 탐색한다. 본고의 핵심인 3 장에서는 앞서 고찰한 철학적, 인류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선정된 10점의 예술작품 사례를 통해 육화된 고통의 의미작용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첫째, 살덩어리의 비-유기체적 무형성을형상화한 나니, 카푸어, 가너 둘째, 신체 분열의 환영을 가시화한 필로메노, 파페, 퀸 셋째, 아물지 않는 상처의 의미를 탐구한 디커, 루우, 글렌디닝, 슈바이처가 분석 대상이다. 육화된 고통을 표상하는현대미술은 관람자에게 일상의 궤도에서 벗어나 타자의 시련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감수성을키우고, 고통을 적극적으로 전유할 방법을 모색할 기회를 제공한다. 고통을 매개로 한 존재론적 전회는 초월적 진리를 찾기 위한 형이상학적 선입견에서 벗어나 현실 세계에서 우리가 어떤 존재여야 하는지 질문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그 결과, 고통은 익숙한 의미연관에서 이탈하여 새로운 관점으로부터 자기반성과 가치 재평가를 통해 사유에 깊이를 더할 수 있게 한다. 고통은 육신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지침이며, 삶의 본질에 내재한 비극성에 익숙해지는 연습이기도 하다. 살과 몸으로 살아가는존재로서 우리는 생명현상에 수반되는 고통의 윤리적 함의가 공존의 세계에서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끊임없이 자문해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ifferent ways in which embodied suffering has been represented in contemporary art since 2000 from an ontological perspective. The methods and content of the paper are divided into two parts. Chapter 2 draws on primary and secondary literature by Levinas, Henri, Jacquet, Holbrand and Pedersen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is of how embodied suffering mediates reflexive introspection in the discourse of flesh and body in French phenomenology to produce positivity out of the negativity of life, and the concept of the ontological turn as a positive agenda in anthropology. Chapter 3, the core of the paper, analyzes the significations of embodied suffering in relation to ten examples of artworks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ical and anthropological ideas discussed above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Nanni, Kapoor and Garner, who represent the inorganic intangibility of flesh; second, Filomeno, Pape and Quinn, who make visible the illusion of the body’s disintegration; and third, Dieker, Lou, Glendinning and Schweizer, who explore the meaning of an unhealed wound. Contemporary art that represents embodied suffering offers viewers the opportunity to step out of their daily routines, to develop their sensitivity to the trials of others as their own, and to find ways to actively appropriate suffering. An ontological turn that uses suffering as a medium opens the way for us to question what it means to be human in the real world, freeing us from metaphysical preconceptions in search of transcendent truth. As a result, suffering allows us to break away from familiar semantic associations and deepen our thinking through self-reflection and reassessment of values from a new perspective. Suffering is a guide to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physical body and an exercise in becoming accustomed to the tragedy inherent in the nature of life. As flesh and blood beings, we would do well to ask ourselves endlessly what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e suffering that accompanies the phenomenon of life should be in our shared world of existe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