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미술관의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을 통한 온라인 전시 활성화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 플랫폼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kci등재

Online Exhibition through Servitization of the Museum A Study on Activation -Concentrating on Case from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Online Platform Exhibition-

초록/요약

2020년 대규모 팬데믹(Pandemic) 사태 이후로 모든산업들은 빠르게 오프라인에서 온라인화로 되어 가고있으며, 새로운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을접목하는 것이 비즈니스에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문화, 예술 전시 분야에서도 오프라인 전시가 불가한 시대 흐름에 미술관의 온라인화 또한 발전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전부터 경쟁이 치열했던 제조업계에서는 IT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를 적용하여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을 창출하며 발전을 모색하고 있었기에온라인화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화, 예술 전시 분야의 발전을 모색하고자 국가를 대표하고 IT 기술을 접목한 온 오프라인전시를 선도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전 세계적 팬데믹 사태 이후 시점인국립현대미술관의 2020년 2월에서 8월까지 진행된 온라인, 오프라인 총 4개의 전시 사례를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인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연구모델은 라자(Raja)1)의 IT 기술을 접목한 서비타이제이션 서비스 사용가치 7가지 특성 중전시서비스에 맞추어 보완한 관계성, 접근성, 제품 및서비스 제공범위, 지식, 가격, 인접성을 6가지 분석 항목으로 설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2). 또한 본 연구의연구대상에 해당되는 전시를 관람한 수도권 거주 문화, 예술 전시 분야의 전문가 30-40대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18개의 항목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5점척도로 환산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전시는 오프라인 전시에 비해 관계성 측면에서 미술관과 관람객 사이에 소셜 플랫폼(Social Platform)을 활용한 소통으로 관람객과 원활한 유대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온라인으로 관람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거리의 제약 없이언제 어디서나 전시를 편하게 관람할 수 있는 접근성또한 뛰어났다. 무료로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비용에 대한 부담 또한 없으며,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있는 학예사의 심도 있는 작품설명 서비스 또한 무료로 제공되어 오프라인 전시보다 온라인 전시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IT 기술이 발전한다고해도 작품을 실제로 보는 것 같은 감동과 경험을 주지는 못할 수 있으나 시대 흐름에 맞는 온라인 전시발전으로 잠재적인 관람객까지 수용하면 좀 더 전시분야의 대중화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한 미술관의역할이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를 토대로 전시 분야의더 나은 발전을 기약하기를 바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