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령층의 디지털 조력과 정보의 질적 활용능력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의 매개효과: 연령 집단 간 다집단 비교
The Mediating Effect of Efficacy in Using Digital Devic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Support and Qualitative Use of Digital Informat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Multi-Group Comparison among Age Groups
- 주제(키워드) 중·고령층 , 정보의 질적 활용능력 , 디지털 조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qualitative use of digital information , digital support , efficacy in using digital devices
- 주제(기타) 사회복지학
- 설명문(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24213
- 등재 KCI등재
-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 발행년도 2024
-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244258
- 본문언어 한국어
- Published As http://dx.doi.org/10.31888/JKGS.2024.44.5.533
초록/요약
This study is conducted o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it was intend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fficacy in using digital devices in the relationship of digital support, which is social support in digital device use, and qualitative use of digital informa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examine differences based on age.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was utilized, and 2,30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are 55 and above, were sele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gital support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qualitative use of digital information. Second, efficacy in using digital device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upport and qualitative use of digital information.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ge groups only in the influence of digital support on the qualitative use of digital information, and the influence of digital support was greater in the middle-aged than older adults. Based on these results, interventions for digital support and efficacy in using digital devic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ative use of digital information ability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more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디지털기기 이용에서의 사회적 지지인 디지털 조력과 정보의 질적 활용능력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연령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정보의 질적 활용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55세 이상 중고령층 2,3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에는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디지털 조력은 중·고령층의 정보의 질적 활용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조력과 중·고령층의 정보의 질적 활용능력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디지털 조력이 정보의 질적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만 연령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장년층이 노년층보다 디지털 조력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중·고령층의 정보의 질적 활용능력의 향상을 위해 디지털 조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