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교육의 유형별 운영모델 개발 kci등재

Development of Operating Models for the Subtypes of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ubtypes of 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PS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s) in Korea and to present an operating model for each type. In order to develop the operational models, literature and PSE programs in Korea were analyz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PSE programs for students with DDs. Th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with DDs and their parents, as well as PSE faculty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 support center staff). The types of PSE were identified: (1)general department type, (2)separate department(class) type, and (3)college-based lifelong education center type. The core element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type of PSE, and the operating model was develop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n operating model for each type of PSE at a time when the demand for college-based PSE for students with DDs is increasing. Suggesting the operating models for subtypes of college-based PSE for students with DDs, we propose future tasks for the expansion of PSE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with DDs and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college-based PSE programs for students with DDs.

more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교육(college-based postsecondary education)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운영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대학기반 중등이후교육 모델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와 중등이후교육 운영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생 현황과 교육 지원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발달장애인 5인 이상 재학 중인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 및 입학처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후 대학기반 중등이후교육 유형별로 총 19명의 발달장애학생 및 부모, 중등이후교육 관련자(대학의 교수 및 장애학생지원센터 직원, 대학형 전공과의 교사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과 중등이후교육 전문가 9인의 협의회를 실시했다. 그 결과로 국내의 대학기반 중등이후교육 유형을 4가지 분류 기준에 따라 11가지 세부 유형으로 구분했다. 또한 발달장애학생의 통합정도 기준에 의한 중등이후교육의 3가지 유형: 일반학과 유형, 별도학과(반) 유형, 대학기반 평생교육원 유형에 따른 운영의 주요 핵심요소를 도출하여 유형별 운영모델을 개발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기반 중등이후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현 시점에 국내 대학들의 실정을 분석하여 대학기반 중등이후교육의 유형을 다양하게 구분하여 국가 차원의 중등이후교육 지원체계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고, 3가지 유형별 운영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발달장애학생이 선택할 수 있는 대학기반의 다양한 중등이후교육 옵션들과 각각의 지원체계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대학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의 기회 확대 및 내실화에 기여하면서 미래 발전과제를 제안한 의의를 지닌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