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국문초록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련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3. 보육교사의 정서표현성과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련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4.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보육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Mehrabin 과 Epstein(1972)의 정서공감척도, Davis(1980)가 제작한 IRI검사, Brayant(1982)가 제작한 정서공감척도를 박성희(1994)가 번안한 것을 참고하여 전병성(2003)이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정서표현성을 측정하기 위해 King과 Emmons(1990)의 정서표현성 설문지(The Emotinal Expressiveness Questionnarie : EEQ)를 번안하여 박수영(2010)이 활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정숙 외 1인(2003)이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에서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질문한 문항을 최선희(2009)가 수정, 보완한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에 대해서는 설립유형 중 민간어린이집과 만 0세를 맡은 담임교사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공감에 대해 높게 나타났고, 정서표현성에 대해서는 담임교사의 연령이 25세 미만과 근무경력이 1~3년 미만인 교사가 정서표현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표현에 대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에 따른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은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표현성과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표현성의 하위요인인 친밀한 정서표현과 긍정적 정서표현은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모두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보육교사의 정서표현성이 높을수록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있어 20.6%의 설명을 나타내었고, 하위요인 중 정서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14.8%,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15.8%, 행동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19.2%의 설명을 나타냈다. 이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육교사의 내적요인인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보육교사 , 공감능력 , 정서표현성 ,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

more

목차

목차

국문초록 ⅰ
목 차 ⅳ
표 목 차 ⅶ

1.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4
1.3. 연구문제 4
1.4. 용어의 정의 5
1.4.1. 공감능력 5
1.4.2. 정서표현성 5
1.4.3.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 6

2. 이론적 배경 7
2.1. 공감능력 7
2.1.1. 공감능력의 개념 7
2.1.2. 공감능력의 구성요소 9
2.2. 정서표현성 11
2.2.1. 정서표현성의 개념 11
2.3.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 13
2.3.1.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개념 13
2.3.2.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유형 14
2.3.3.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 14
3. 연구 방법 16
3.1. 연구대상 16
3.1.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징 16
3.2. 연구도구 18
3.2.1.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18
3.2.2. 보육교사의 정서표현성 19
3.2.3.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 척도 20
3.3. 연구절차 20
3.3.1. 예비조사 21
3.3.2. 본 조사 및 자료수집 21
3.4. 자료 분석 21

4. 연구 결과 22
4.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 22
4.1.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 22
4.1.2.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표현성 29
4.2.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 36
4.2.1.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 36
4.2.2.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 37
4.3. 보육교사의 정서표현성과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 38
4.3.1. 보육교사의 정서표현성과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 38
4.4.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40
4.4.1.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 는 상대적 영향 40

5. 논의 및 제언 45
5.1. 논의 및 결론 45
5.2. 결론 및 제언 48

※ 참고문헌 50
※ ABSTRACT 56
※ 부 록 5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