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the Elderly Residing at Nursing Home

초록/요약(abstract)

오늘날 의학 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인간의 수명은 길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노인의 양적 증가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노인의 삶의 질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죽음 수용이며 죽음 수용은 많은 학자들이 노년기에 이루어야 할 중요한 과업이라고 이야기 한다. 그러나 노년기에 겪게 되는 신체적·정신적 노화, 배우자와의 사별, 경제적 여건의 악화, 사회적 역할 상실 등으로 인해 죽음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힘든 환경에 있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죽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으로 인해 우울의 정도가 높으며 삶의 질이 낮으며 이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질환의 발생이 가속화되기도 한다. 노인 중 양로시설 거주 노인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 비해 사회적, 심리적으로 취약하여 죽음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죽음준비교육은 죽음이 주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죽음이 현재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적하며 이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 결과들이 밝혀졌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참가자가 대부분 노인대학과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으로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 검사가 주를 이루었고 교육의 효과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추후 검사를 실시한 연구는 없었다. 셋째, 국내에 표준화된 죽음준비교육이 없으며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박지은(2009)의 프로그램은 죽음학 학자 Corr(1995)가 제시한 죽음준비교육의 4가지 차원 중 3가지만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추후검사를 하였다. 또한 박지은(2009)의 프로그램에 Corr(1995)의 죽음준비교육의 4가지 차원(인지적 차원, 정서적 차원, 행동적 차원, 가치적 차원) 모두를 프로그램 내용에 적용하여 보다 다각적인 죽음준비교육이 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교육이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 및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A양로시설에 거주하는 노인 중 비동일통제집단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참여자는 총 4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chi square : x²)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대응표본 t 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추후검사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우울을 사후검사와 추후검사 시 까지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삶의 질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그 효과는 추후검사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함의는 실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추후검사까지 실시하여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였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단순히 죽음 불안을 낮추는 것뿐만이 아니라 사회복지의 궁극적 목표인 삶의 질을 향상시켰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more

초록/요약(abstract)

People are living longer these days thanks to medical advancement and a higher standard of living. The Quality of elderly people’s life is as important as the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elderly living is acceptance of death, which many scholars regard as an important task that people should manage in their old ages. However, it is hard for elderly people to accept the notion of death positively amid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terioration, bereavement of spouses, declining financial condition, and the loss of their social roles. A majority of elderly people feel quite depressed due to vague anxiety over death, and suffer from a poor quality of life, which might accelera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illnesses. In particular, elderly people residing at nursing homes are more vulnerable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in the community, and they need intervention as it is hard for them to positively embrace the notion of death. The purpose of death education is to mitigate negative impact of the notion of death so that death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esent life. In this regard, promising research outcomes have been produced. However, previous studies on death education in Korea presented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most participants were attendants of elderly colleges or user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research was not don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Second, most studies were based on pre- and post-education tes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and no research involved a follow-up test to measure the effect of education more accurately. Third, there is no standardized program for death education in Korea, and the widely used program developed by Park(2009) addresses only three out of four dimensions of death education proposed by a thanatologist Corr(1995). Noting these limitations, in this study, death education was given to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pre-, post-education tests as well as a follow-up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for research methodology, the widely used Park’s death education program was adopted with all four dimensions by Corr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value) to provide a more diversified ang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eath education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death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Forty-six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 A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are a heterogeneous group of people,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undergo pre-, post-education tests and a follow-up test. With the collected data, x² test was conducted to test homogene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using SPSS Win 22.0.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ath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death anxiety of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until a follow-up test. Second, the death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alleviated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in both post-education test and follow-up test. Third, the death education program improve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until a follow-up test.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implications in developing a practical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the study secured a high level of credibility and validity by conducting a follow-up tes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tudy produced an empirical evidence to show that the death education program not only mitigates anxiety over death but also enhanced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ving, which is an eventual goal of social welfare programs.

more

목차(tale of contents)

Ⅰ.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제 2 절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5

Ⅱ. 이론적 배경 6
제 1 절 죽음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접근 6
1. 죽음에 대한 개념 7
2. 죽음에 대한 심리학적, 생물학적․의학적, 철학적 접근 8
3. 죽음의 과정 10
1) 자신의 죽음 11
2) 타인의 죽음 13
제 2 절 죽음준비교육 16
1. 죽음준비교육 16
2.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18
1) 죽음불안 18
(1) 죽음불안에 대한 개념 18
(2)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 20
2) 우울 24
(1) 우울에 대한 개념 24
(2) 우울에 미치는 효과 26
3) 삶의 질 27
(1) 삶의 질에 대한 개념 27
(2)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28
4) 기타 변수들 30
제 3 절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 34
1. 양로시설 거주 노인 34
1) 양로시설에 대한 개념 34
2)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특성 35
2.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 38

Ⅲ. 연구방법 46
제 1 절 연구 모형 46
제 2 절 연구 대상 47
제 3 절 자료 수집 48
제 4 절 측정 도구 49
1. 죽음불안 49
2. 우울 49
3. 삶의 질 50
제 5 절 자료 분석 51

Ⅳ. 연구결과 및 분석 52
제 1 절 연구 참여자의 동질성 검증 52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52
2. 각 변수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55
제 2 절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57
1. 죽음불안 57
2. 우울 60
3. 삶의 질 60

Ⅴ. 결론 및 제언 66
제 1 절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66
제 2 절 연구의 함의 및 제언 69

참고 문헌 73

부록 1. 프로그램 설명문 및 참여 동의서 82
부록 2. 설문지 84

영문초록 9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