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우리나라 지역안전의 공간적 패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attern of Regional Safety in Korea

초록/요약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가 주목하지 않았던 전국단위 지역안전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227개 시·군·구의 화재·교통사고·범죄·안전사고·자연재해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탐색적 공간자료분석(ESDA) 기법을 이용하여 지역안전의 공간의존성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안전 수준은 전국적으로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지역은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지역으로 측정되었다. 지역별 안전의 공간의존성은 매우 낮았으며, 그 이유는 지역안전에 영향을 주는 각종 재난들의 지리적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지역안전에 영향을 주는 하위지표를 살펴보면, 화재의 위협은 도시지역보다 농촌지역에 심각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매우 강한 공간의존성이 나타났다. 이에 반해 교통사고에 쉽게 노출된 지역은 대부분의 도시지역이었으며 농촌지역은 교통사고에 비교적 안전한 지역이었다. 교통사고의 공간의존성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범죄의 경우 교통사고와 마찬가지로 도시지역에서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농촌지역에서는 보다 적게 발생하였다. 범죄의 공간의존성은 교통사고와 마찬가지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띠었다. 계속해서 안전사고는 안전관리가 비교적 허술한 농촌지역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도시지역은 안전사고에 비교적 자유로운 지역이었다. 안전사고의 공간의존성은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자연재해의 위협을 받기 쉬운 지역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었으나 서울과 대구 지역은 자연재해에 비교적 안전한 지역으로 조사되었다. 자연재해는 약한 공간적 자기상관을 띤 것으로 나타났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regional safety in Korea that previous researches has not pay attention. In order to check the level of regional safety, This study collects fire·traffic accidents·crime·negligent accidents·natural disasters data based on 227 Si-Gun-Gu, entire Korea local area, and measures the spatial dependence using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technic.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is a great difference of the level of regional safety throughout the country and Seoul was identified as the safest region in Korea. The spatial dependence of regional safety was measured very low, because disasters affecting regional safety have differen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Examining sub-indicators which are influencing regional safety, the threat of fire was investigated as serious in rural areas rather than in urban areas and fire has very high spatial dependence. On the contrary, traffic accidents occur more often in urban areas than rural areas. The spatial dependence of traffic accidents indicate low positive relationship. Crime, like traffic accidents, occurs more frequently in cities rather than in farming villages. Crime also has low level of the spatial dependance. Rural areas are investigated that there are far more possibility to expose to negligent accidents than cities. The spatial dependence of negligent accidents is identified very high. Finally, regions which seriously expose to threats of natural disasters are distributed nationwide. Seoul and Daegu, however, are safety area for natural disasters. The spatial dependance of natural disasters was confirmed very low.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의의 1
제2절 연구의 필요성 4
제3절 연구 질문 8

제2장 이론적 배경 10
제1절 재난과 안전 10
1. 재난의 정의와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체계의 변천 10
2. 안전의 개념과 범위 13
3. 재난의 공간적 관리의 필요성 17
제2절 우리나라 재난 발생 현황 19
제3절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26
1. 이론적 배경 26
2. 선행연구 검토 29
제4절 가설 설정과 연구 흐름 37
1. 가설 설정 37
2. 연구 흐름 38

제3장 방법론 39
제1절 자료와 분석전략 39
1. 자료 39
2. 지역안전통합지수 44
3. 분석전략 46

제4장 분석결과 49
제1절 지역안전 수준 서술통계 49
1. 화재 49
2. 교통사고 51
3. 범죄 53
4. 안전사고 55
5. 자연재해 57
6. 지역안전 59
제2절 지역안전 수준의 공간적 패턴 61
1. 전역적 공간자기상관지수(Moran’s I) 61
2. 사분위지도와 LISA 64
1) 화재 64
2) 교통사고 67
3) 범죄 70
4) 안전사고 73
5) 자연재해 76
6) 지역안전 79

제5장 결 론 82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정책적 함의 82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87

참고문헌 89
Abstract 9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