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두부전방자세의 만성 경부통 환자에게 경부 심부근 굴곡운동이 통증, 두통, 경부기능 및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ervical Deep Muscle Flexion Exercise on Pain, Headache, Neck Disability, and Sleep Disability for Chronic Cervical Pain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두부전방자세를 가진 만성 경부통 환자들에게 경부 심부근 굴곡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경부통증, 두통, 경부기능 및 수면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두부전방자세가 있는 만성 경부통 환자 32명을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16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4주간 중재를 주었다. 실험군은 경부 심부근 굴곡운동(Cervical Deep muscle Flexion Exercise ; CDFE)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스트레칭 운동(Stretching Exercise ; SE)을 적용하였다. 경부통증의 평가를 위하여 Visual Analog Scale(VAS), 두통의 평가를 위하여 Henry Ford Headache disability Inventory(HDI), 경부기능장애의 평가를 위하여 Neck Disability Index(NDI), 수면장애의 평가를 위하여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K)를 각각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로써 얻어진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각의 집단 내 운동 전․후 경부통증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대조군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두통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경부기능장애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수면장애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그리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집단 간 비교에서는 실험군에서 경부통증, 두통, 경부기능장애, 수면장애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두부전방자세를 가진 만성 경부통 환자에게 경부 심부근 굴곡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경부통증, 두통, 경부기능장애, 수면장애를 개선시켜 일상생활에서 통증조절과 경부기능 및 수면의 질을 향상 시킬 것으로 생각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ervical deep muscle flexion exercise on pain, headache, neck disability, and sleep disability for chronic cervical pain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f 32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 the cervical deep muscle flexion exercise group(CDFE group) n=16 and the stretching exercise group(SE group) n=16. Participants in the CDFE group were trained in cervical deep muscle flexion exercises and the SE group were trained in Streching Exercise. To assess Visual Analog Scale(VAS) was used to test the cervical pain, Henry Ford Headache disability Inventory(HDI) was used to test the headache, Neck Disability Index(NDI) was used to test the neck disability, and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K) was used to test the sleep disability.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 was applied 3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CDFE group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than the baseline values in VAS(p<.001) and the SE group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in VAS(p<.05). The CDFE group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than the baseline values in HDI(p<.001). However, the SE group valu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in HDI(p<.05). The CDFE group valu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eatment than the baseline values in NDI(p<.001). However, the SE group valu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in NDI(p<.05).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의 가설 6
Ⅱ.이론적 배경 7
1. 경추의 해부학적 구조와 특징 7
2. 두부전방자세 9
3. 경부통증11
4. 경부 심부근 굴곡운동 13
Ⅲ.연구방법 15
1. 연구대상 및 기간 15
2. 연구설계 및 절차 17
3. 실험절차 및 훈련방법 19
4. 평가도구 28
5. 분석방법 34
Ⅳ.연구결과 35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5
2. 경부통증의 변화 37
3. 두통의 변화 40
4. 경부기능장애의 변화 43
5. 수면장애의 변화 46
Ⅴ.논의 49
Ⅵ.결론 및 제언 54
참고 문헌 56
Abstract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