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발목 관절가동기법과 근 에너지기법이 고유수용성 감각, 균형 및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n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Activation after Joint Mobilization and Muscle Energy Technique

초록/요약

발목 발등 굽힘의 가동범위 증진은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허리 통증을 가진 대상자는 건강한 자에 비해 균형 능력이 부족함을 선행 연구를 통해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절가동기법과 근 에너지기법을 통한 발등 굽힘 가동범위 증진이 고유수용성 감각, 균형 그리고 하지 및 허리의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와 두 기법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건강한 20세 이상 남·여 20명을 선정, 교차계획법을 이용하여 대상자에게 관절가동기법, 근 에너지기법 그리고 플라시보 효과를 위한 간섭전류 기기를 적용하였다. 각 중재 전·후에 발등 굽힘 가동범위는 체중부하 런지검사, 고유수용성 감각은 관절위치감각 재배치 오류, 정적 균형은 압력분포 측정기, 동적균형은 별 모양 균형검사, 근육 활성도는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였다. 중재 전·후 측정 결과, 관절가동기법은 체중부하 런지검사와 별 모양 균형검사가 유의하게 향상하였고, 관절위치감각 재배치 오류와 정적 균형 변수인 앞뒤동요 거리, 정적 균형 측정 시 양쪽 허리세움근 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절가동기법을 통한 발등 굽힘 각도 증진이 정적균형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정적균형 측정 시 양쪽 허리세움근의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추후 연구로 허리통증 환자에게 관절가동기법을 통한 발등 굽힘의 가동범위 증진이 균형 및 허리 통증에 주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or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가설 5

Ⅱ. 연구 방법 6
1. 연구대상 및 기간 6
2. 연구 설계 7
3. 연구 실험절차 8
4. 중재 방법 10
5. 평가 도구 15
6. 분석 방법 22

Ⅲ. 연구 결과 23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2. 발목 발등 굽힘 각도에 대한 집단 간, 집단 내 비교 24
3. 고유수용성 감각에 대한 집단 간, 집단 내 비교 27
4. 정적 균형에 대한 집단 간, 집단 내 비교 30
5. 동적 균형에 대한 집단 간, 집단 내 비교 35
6. 근육활성도에 대한 집단 간, 집단 내 비교 38

Ⅳ. 논의 58

Ⅴ. 결론 및 제언 63

참고 문헌 65

ABSTRACT 7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