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혁신학교 정착을 위한 핵심조건 연구: D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혁신학교가 양적으로 증가한데 비해 질적인 성장은 담보하지 못함에 따라, 일반학교에서 혁신학교가 되어 학교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핵심조건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형 혁신학교인 D초등학교의 운영과정에 참여한 9명의 교사들을 면담하여 경험사례를 분석하였다. D초등학교의 혁신학교 운영 시기별 경험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가 혁신학교로 변화하는 초기 과정에서 격렬한 토론과 갈등은 필연적이다. 둘째, 토론과 갈등을 거쳐 이루어진 합의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교육 활동이 차츰 정착되어 갈 수 있다. 셋째, 혁신학교가 지속적으로 공동체의 지향점을 되묻지 않으면 구성원들은 혁신교육에 대해 각자 다른 상을 갖게 되고 이는 혁신교육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혁신교육활동을 뒷받침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의 민주주의다. 학교의 문화가 민주적으로 바뀌어야 교사가 자발적으로 혁신교육에 동참하고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고려하는 교육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혁신학교가 정착되려면 먼저 민주적인 의사소통이 유지되어야 하며 숙의의 과정이 있는 회의 문화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유대적 관계의 구축을 위해 동료성의 형성, 구성원의 변화에 따른 관계의 확장, 비전과 성장의 공유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혁신학교 변화과정에 민주적으로 참여한 구성원들이 혁신학교 운영 과정 자체를 공동체적 성취로 인식하고 교사로서의 보람을 경험해야 혁신교육이 지속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혁신학교의 교사들은 새로운 교육운동의 현장에 ‘실천가’로서 참여하고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관리자는 시대에 맞는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 교육청은 일반학교에 혁신교육의 결과들을 적용하기에 앞서 각 학교의 민주적 토대를 다지는 일에 주력해야 한다. 국가적으로는 한 사람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는 현재의 교육법 개정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민주적 학교운영은 더 나은 방향의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혁신학교의 정착을 위한 핵심 조건이며 서로 존중하고 배움이 살아 있는 학교를 만들기 위한 시작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에 대해 보다 거시적인 안목으로 접근하여 시대적 흐름 속에서 혁신학교에서 추구해온 혁신교육의 실천적 의미를 교육의 이론으로 정립해간다면 의미 있는 교육적 자산이 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ey conditions a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becoming an innovative school in a common school, as the number of innovative schools has increased quantitatively, while qualitative growth has not been secured.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n interview with nine teachers at D Elementary School, which has been run as a Seoul-type innovation school for six year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teachers' experience by operation period. First, intense debate and conflict are inevitable in the initial process of transition from general school to innovative school. Second, innovative educational activities can be settled on the basis of the consensus reached through discussions and conflicts. Third, if the innovation school does not constantly ask for the community's point of view, the members will have different awards for innovation education, which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innovation education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thing supporting the innovation education activities is the democracy of the school, so the culture of the school should be democratically changed. There are a couple of requirements to be met to ensure the continuation of innovative education: first, democratic communication should be maintained. It is thus needed to settle down a meeting culture with a deliberation process; second, teachers should form bonding relations by establishing fellowship, expanding their relations according to the changing members, and sharing their visions and growth; and finally, there should be achievements and rewards for innovation schools and their teachers. After taking democratic part in the changing process toward an innovation school, the teachers regarded the management process of the innovation school as a communal achievement and found a reward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ir self-esteem. Here are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eachers of innovation schools are participating as 'activist' in the field of new educational movements. Managers should have rational and democratic leadership that is timely. The Education Office needs to innovate in the delivery of innovation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business continuity. The government should revise the current education law, in which one person holds power.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is a core cond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in a better direction and the beginning of building a school where everyone respects one another with learning coming aliv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approach education in a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innovation education pursued in the innovation school in the era of the times as the theory of education. Key words : Innovation School, school democracy, teacher council, voluntary participation,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1
2. 선행연구 검토 4
3. 연구 방법 8
1) 연구방법 및 절차 8
2) 연구 대상 9

Ⅱ. 혁신학교에 대한 배경지식 12
1. 혁신학교의 등장과 전개 12
1) 교육혁신의 과정과 혁신학교의 등장 12
2) 혁신학교의 개념 및 철학 15
3) 서울형 혁신학교 18
2. 학교민주주의 20

Ⅲ. 혁신학교 운영의 변화 과정 26
1. 혁신학교 운영 시기별 교사들의 경험사례 분석 26
1) 혁신학교 준비기 27
2) 혁신학교 활성화기 35
3) 혁신학교 연속기 48
2. 혁신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생각 63
1) 혁신학교 경험 이후 생각의 변화 63
2) 혁신학교에서 느끼는 어려움 64
3) 혁신교육활동을 지속하게 하는 힘 66
4) 혁신학교와 민주주의 67

Ⅳ. 혁신교육과 민주적 학교운영 73
1. 민주적 의사소통 73
1) 교직원 회의와 숙의민주주의 73
2) 관리자의 권한이양과 리더십 74
3) 업무지원팀의 순환 79
4) 소통의 다양화 82
2. 유대적 관계 85
1) 동료성 85
2) 구성원의 변화와 관계의 확장 86
3) 비전과 성장의 공유 87
3. 성취와 보상 89
1) 공동체적 성취와 보상 89
2) 개인적 성취와 보상 90

Ⅴ. 결론 94

참고문헌 99

ABSTRACT 10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