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n Jurisprudence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Potential Considerations for Cambodia
대한민국 국제중재 관련한 판례의 분석: 캄보디아를 위한 시사점
- 주제(키워드) 도움말 International Arbitration , Arbitral Awards , Annul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 The New York Convention , Legal Transplants , 국제중재 , 중재판정 , 중재판정의 취소의 소 ,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 , 뉴욕협약 , 법률 채택
- 주제(DDC) 340
-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Kim Joongi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법학과
- 세부전공 Commercial Law (상법)
- 원문페이지 iv, 114p.
- 파일정보 Thesis Committee Members: Park Deok-Young, Lee Ki Beom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yonsei/000000538382
- UCI I804:11046-000000538382
- 본문언어 영어
초록/요약 도움말
As everything has its own reason to exist, an international dispute settlement in the form of arbitration was presented by the phenomena of cross-border commercial activities, as well as globalization. Although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system of each individual jurisdiction is uniformed and harmonized by the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the different gaps of development can still be found. Standing in the infant progress of arbitra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 it is convinced that Cambodia’s arbitration system needs to grow better and to be strong enough to survive in the fast-growing world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This thesis is to conduct a study on South Korea jurisprudence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especially Korean courts’ approaches on annulment,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For better legal practices in areas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from national courts’ participation, the thesis also aims to provide Cambodia several potential considerations for the adoption of Korean courts’ practices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based on several needs, benefits and possibilities. If the adoption of Korean courts’ approaches and precedents takes place, the study would try to offer a methodology for the adoption. The methodology for the adoption would suggest the forms of the adoption, the subsequent commitments after the adoption, the source of funds and technical assistance.
more초록/요약 도움말
세계화뿐만 아니라 국경을 초월한 상업활동으로 국제분쟁 해결이 중재 방식으로 탄생하였다. 개별 국가의 국제중재제도가 국제적 모범사례에 의하여 획일화되고 조화를 이루기는 했지만, 여전히 발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재 개발과 운용의 초기 단계에 있는 캄보디아의 중재 시스템은 빠르게 성장하는 국제 중재 세계에서 경쟁할 수 있을 만큼 더 발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법원의 판례에 대한 국제중재 특히 외국 중재판정의 취소의 소, 승인, 집행에 대한 한국 법원의 법률 관행에 관하여 살펴보고 캄보디아를 위한 시사점에 제시하고자 한다. 법원의 역할로 인한 국제중재 분야의 더 나은 법률 관행을 위하여, 본 연구는 캄보디아에 여러 가지 필요성, 혜택 및 가능성을 바탕으로 한국 법원의 국제중재 관행을 채택할 수 있는 몇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국 법원의 접근법과 판례가 채택되는 경우, 채택에 대한 방법론도 제시하며, 채택의 형태, 채택 이후의 조치, 연구비 지원 기관 및 기술 지원에 대한 방법을 함께 제공할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