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저신장소아에서 두개안면골격, 치아발육단계 및 치열교합 발육특성

Evaluation of Craniofacial Morphology, Teeth Deveplopmental Stage and Dental Occulusion in Children:

  •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이희경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대학원 의학과
  • 세부전공 치의학전공
  • 원문페이지 44
  • 파일정보 PDF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yu/200000221631
  • UCI I804:47017-20000022163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short statured children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idiopathic short statu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deficiency on craniofacial morphology, teeth developmental stage and dental occlusion.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orthodontic treatment protocols for short statured children. Thirty-one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thirty-two idiopathic short stature(with paired sampling who are matching in thirty-one growth hormone-deficient subjects' age and sex) were two subject group who started to receive growth hormone treatment at the Pediatrics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Lateral cephalograms and panoramic radiographs were taken and cast models of upper and lower dentition were fabricated. Control group were selected among children with Angle's class I malocclusion who have arch length discrepancy less than 3mm. The age and gender of control group were also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short statured children for paired sampl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en linear measurements of the facial structures were compared between short-statured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idiopathic short statured children and average children at ACB, PCB, TCB, UPFH, PTFH, MandRL and OMand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hort statured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idiopathic were found at MandRL and OmandL.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diopathic short statured children and average group were found at ACB, PCB, UPFH, MandRL, MandCL. The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angular measurements between short statured with hormone deficiency, idiopathic short statured children and average childre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at SA, GA, MPA, SNA, SNB, ANB and PPM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hort statured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idiopathic short statured at GA, SNB and ANB. Between short statured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average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SA, GA, MPA, SNA, SNB and ANB. Mean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at MPA, SNB and ANB were recognized between idiopathic short statured children and average children. Almost all tooth eruption was significantly delayed on short statured groups when 3 groups; short statured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idiopathic short statured children and average children; were compared. Only the eruption of lateral incis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ort statured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idiopathic short statured children. The eruption of central incisors, canines and first premolars were significantly delayed on idiopathic short statured children compared to average children. However almost all tooth eruption was significantly delayed on short statured children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compared to average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on inter-canine distances and inter-molar distances of all 3 groups were found when study cast model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re also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rch length discrepancy with each groups. Over jet and over bit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ort statured children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idiopathic short statured children was over bite, mean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very aspect between short statured groups and average group. In conclusion, whether short stature was induced either idiopathic or deficiency of growth hormone, short stature children were affected not only in their somatic stature but also craniofacial morphology and dental maturity. Almost all measurements of facial structures were smaller than the measurements of control group. A disproportionate growth in the cranial base structures as well as in the jaws resulted in facial retrognathia, a proportionately smaller posterior than anterior facial height, and a steep vertical inclination of the mandible. The bony structures that are dependent on cartilaginous growth seem to be more affected than structures formed by sutural growth or intramembranous ossification. Dental crowding was more common and the overbite was small. Teeth developmental stage was delayed. Futhermore, almost all results were more deviated in short statured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than idiopathic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reduced dimensions of the jaws, as well as the retroposition especially of the mandible, may lead to an increase in malocculusions such as distal occulusion and crowding, resulting in an increasing need of orthodontic treatment.

more

초록/요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저신장으로 진단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치과에서 두개안면골격, 치아발육과 모형분석에 대한 평가를 같이 받기를 동의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연구대상 소아에서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과 파노라마의 촬영이 시행되었으며, 모형을 제작하기 위해 상악과 하악의 인상을 채득하였다. 최종적으로 모든 자료가 구비된 저신장 소아의 원인을 분류한 결과 성장호르몬 결핍인 대상자가 31명이였고,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의 연령과 성별을 기준으로 하여 짝진 표집(paired sampling)을 하여 32명의 특발성 저신장 소아를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대구 소재 교정전문병원에서 1급 부정교합이고 arch length discrepancy가 3mm 미만인 대상자를 선정하여 저신장 소아의 연령과 성별을 기준으로 짝진 표집(paired sampling)을 하여 32명을 분류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저신장 소아 중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저신장과 특발성 저신장간의 차이점을 조사함으로 성장호르몬 결핍이 두개 안면 골격, 치열궁의 발육 및 치아 발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정상 소아와의 비교를 통해 저신장 소아의 두개 안면 골격, 치열궁의 발육 및 치아 발육의 특성을 확인함으로 향후 저신장 소아의 교정치료 프로토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성장 소아, 특발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의 두개 안면골격의 선 계측항목을 비교한 결과, ACB, PCB, TCB, UPFH, PTFH, MandRL, OMandL에서각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소아와 특발성 저신장 소아 간의 유의한 차이는 MandRL과 OMandL에서 나타났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 간에 ACB ,PCB, TCB, UPFH, PTFH, MandRL MandCL에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발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 간의 유의한 차이는 ACB, PCB, UPFH, MandRL, MandCL에서 나타났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성장 소아, 특발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의 각도 계측항목을 비교한 결과, SA, GA, MPA, SNA, SNB, ANB, PPMand에서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와 특발성 저신장 소아 간의 유의한 차이는 GA, SNB와 ANB에서 나타났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 간에 SA, GA, MPA, SNA, SNB, ANB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발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 간의 유의한 차이는 MPA, SNB, ANB에서 나타났다. 저신장소아의 치아발육단계를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 특발성 저신장군 소아 정상 소아 간의 세 집단을 비교했을 때는 모든 치아에서 유의하게 저신장소아의 치아발육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증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와 특발성 저신장 소아 간의 유의한 차이는 측절치에서 나타났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 간에는 모든 치아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에서 유의하게 발육이 늦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발성 저신장소아와 정상소아 간에는 중절치 견치, 제1소구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성장 소아, 특발성 저신장 소아와 정상 소아의 모형계측항목을 비교한 결과, 견치간 폭경과 구치간 폭경 모두에서 각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rch length discrepancy도 각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Over jet과 Over bite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와 특발성 저신장 소아 간의 유의한 차이는 Over bite에서 나타났고,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소아와 특발성 저신장 소아를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는 전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신장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나 특발성 저신장 소아 모두 신장 뿐 만 아니라 두개 안면골의 성장과 구강발육 역시 영향을 받았음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안면구조물의 측정치가 대조군에 비해 작았다. 작은 Ramus 길이, 큰 Gonial Angle과 Mandibular Angle은 모두 하악 과두부위의 성장결핍을 나타낸다. 이런 결과는 연골성장에 의존하는 골격구조가 봉합성장 혹은 막내골화에 의존하는 조직에 비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치아의 총생은 더 심했고 수직 피개는 작았다. 치아 발육단계도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 소아에서 특발성 저신장 소아 보다 모든 결과가 조금 더 심하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항목은 하악골에 국한해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저신장 소아의 교정치료는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과 얕은 수직피개를 개선하기 위해 하악골의 성장방향을 전상방으로 바꾸어 주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며 또한 총생을 치료하기 위해 조기에 Arch length discrepancy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 치료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서 론 1
대상 및 방법 4
성 적 12
고 찰 29
요 약 34
참 고 문 헌 37
영 문 요 약 41

more